이명박 정부는 공공외교에 상당한 공을 들였다. ‘국격 고취’라며 국가브랜드위원회 같은 낯선 이름의 대통령 자문 기구가 2009년 설치된 것도 공공외교를 강화하려는 이유였다. 국가가 운영하는 공공외교(Public Diplomacy) 관련 홈페이지에서 이 개념을 “외국 국민과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해 우리나라의 역사, 전통, 문화, 예술, 가치, 정책, 비전 등에 대한 공감대를 확산하고 신뢰를 확보함으로써 외교관계를 증진하고, 우리의 국가이미지와 국가 브랜드를 높여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영향력을 높이는 외교활동”이라고 정의했다.
공공외교의 시대에는 공식적인 외교적·군사적 행위에 앞서 국제여론을 등에 업어야 한다. 국제여론이 호의적이지 않으면 미국조차 ‘악의축’과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입증했다. 이렇게 국제여론이 중요해진 이유는 위성방송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영국의 BBC월드 뉴스나 미국의 CNN 월드, 카타르의 알 자지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으로 세계에서 무슨 일이 어떻게 발생해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누구나가 실시간으로 다 알 수 있는 지구촌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21세기의 세계는 수평적이고 쌍방적이며 대칭적인 관계가 됐다.
공공외교는 또한 영국문화원이나 괴테인스티튜트처럼 해외주재 문화원을 통한 문화·예술·언어를 통해 매력을 발산·확산하거나,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원조를 통해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거나, 독일과 프랑스에서 시작된 지방자치단체들의 자매협력도시 맺기 운동 등을 벌인다. 여기서 NGO나 대학은 물론, 세계적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은 별도로 설명할 필요도 없다. 이런 요소들을 소프트파워(Soft Power)라고 부르고, 20세기까지 강조된 군사적 개입이나 강압적 외교, 경제적 제재 등의 하드파워(Hard Power)와 차별한다. 따라서 공공외교에서는 다양한 소프트 파워로 매력을 발산해야 한다.
한국의 가장 큰 매력은 1970년대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산업화와 1987년으로 상징되는 민주화의 ‘동시 달성’이다. 독재정권 아래의 산업화한 한국이나, 가난하지만 민주적인 한국은 둘 다 매력적이지 않다. 그런데 요즘 해외 언론에 보도되는 한국 사회를 보면 공공외교가 걱정된다. BBC 등에서 극우적 논조의 산케이 신문 소속 기자이지만 ‘대통령의 7시간’을 보도했다는 이유로 한국 검찰에 기소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도 “지켜보고 있다”고 논평까지 냈다. 이명박 정부 때 강조되던 ‘공공외교’나 ‘국가 브랜드’ 정책들은 박근혜 정부에서 다 어디로 간 것일까.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공공외교의 시대에는 공식적인 외교적·군사적 행위에 앞서 국제여론을 등에 업어야 한다. 국제여론이 호의적이지 않으면 미국조차 ‘악의축’과의 전쟁, 테러와의 전쟁 등에서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음을 입증했다. 이렇게 국제여론이 중요해진 이유는 위성방송과 인터넷 기술의 발전으로 영국의 BBC월드 뉴스나 미국의 CNN 월드, 카타르의 알 자지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과 트위터 등으로 세계에서 무슨 일이 어떻게 발생해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누구나가 실시간으로 다 알 수 있는 지구촌으로 변화했기 때문이다. 21세기의 세계는 수평적이고 쌍방적이며 대칭적인 관계가 됐다.
공공외교는 또한 영국문화원이나 괴테인스티튜트처럼 해외주재 문화원을 통한 문화·예술·언어를 통해 매력을 발산·확산하거나, 아프리카 국가들에 대한 원조를 통해 우호적인 여론을 형성하거나, 독일과 프랑스에서 시작된 지방자치단체들의 자매협력도시 맺기 운동 등을 벌인다. 여기서 NGO나 대학은 물론, 세계적 언론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은 별도로 설명할 필요도 없다. 이런 요소들을 소프트파워(Soft Power)라고 부르고, 20세기까지 강조된 군사적 개입이나 강압적 외교, 경제적 제재 등의 하드파워(Hard Power)와 차별한다. 따라서 공공외교에서는 다양한 소프트 파워로 매력을 발산해야 한다.
한국의 가장 큰 매력은 1970년대 ‘한강의 기적’으로 불리는 산업화와 1987년으로 상징되는 민주화의 ‘동시 달성’이다. 독재정권 아래의 산업화한 한국이나, 가난하지만 민주적인 한국은 둘 다 매력적이지 않다. 그런데 요즘 해외 언론에 보도되는 한국 사회를 보면 공공외교가 걱정된다. BBC 등에서 극우적 논조의 산케이 신문 소속 기자이지만 ‘대통령의 7시간’을 보도했다는 이유로 한국 검찰에 기소됐다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도 “지켜보고 있다”고 논평까지 냈다. 이명박 정부 때 강조되던 ‘공공외교’나 ‘국가 브랜드’ 정책들은 박근혜 정부에서 다 어디로 간 것일까.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0-1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