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산사 음악회/서동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산사 음악회/서동철 논설위원

입력 2014-10-04 00:00
수정 2014-10-04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경북 봉화의 청량산은 이름만 들어도 기분이 상쾌해진다. 그도 그럴 것이 청량(淸凉)이라는 표현 자체에 맑고 시원하다는 뜻이 담겨 있지 않은가. 불교에서는 청량을 번뇌가 사라진 맑고 깨끗한 경지를 가리킨다. 중생의 아픔을 치유해 주는 약사여래가 머물고 있다는 동방정유리세계(東方淨琉璃世界)가 이런 곳이다. 그러니 고통이 사라진 동방정유리세계는 아미타여래가 주재하는 서방정토(西方淨土), 곧 극락과 다르지 않다. 청량리라는 서울 동대문 밖의 지명에도 이런 뜻이 담겨 있다.

낙동강 물줄기가 휘감고 나가는 무공해지대 청량산에서는 누구나 청량한 기운을 느낄 수 있다. 청량사는 해발 870m의 산 정상을 향해 오르는 등산객이 가쁜 숨을 몰아쉬며 한 번쯤 쉬어가고 싶어질 때쯤 나타난다. 청량산 계곡을 품어안 듯 들어앉은 절집 됨됨이에서는 결코 자연을 거스르지 않는 마음가짐이 읽힌다. 역시 조촐하다고밖에 할 수 없는 큰법당에는 유리보전(琉璃寶殿)이라는 현판이 걸렸다. 큰법당에는 당연히 약사여래가 모셔졌다. 이렇듯 청량사는 ‘치유의 절’이다.

산사 음악회는 이제 가을을 맞는 통과의례만큼이나 일반화됐다. 노스님도 가을의 한복판을 그냥 보낼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다투어 법문을 하시는지 전국 곳곳에서 많이도 열린다. 청량사는 2001년 첫 산사 음악회를 열었다. 이 깊은 산골에 누가 오겠느냐고 말리는 사람도 있었다지만 음악회 당일 청량산 계곡에는 3000명이 찾아들었다. 이후에도 줄곧 1만명 안팎이 모인다고 한다. ‘산사’와 ‘음악회’라는 어울릴 것 같지 않았던 단어의 조합이 익숙해진 것은 오로지 청량사의 공이다.

산사 음악회를 이끌어 오고 있는 지현 스님은 ‘마을로 내려온 스님’으로 불린다. 지역 주민을 위해 논밭머리로, 마을회관으로 ‘찾아가는 법회’에 힘쓰고 있다. 산사 음악회를 시작한 것도 “받는 불교에서 주는 불교로 바뀌어야 한다”는 신념 때문이다. 어느 해보다 아픈 일이 많았던 올해 치유의 기능을 가진 절에 주어진 역할은 다른 해와 다를 것이다.

지현 스님은 음악회 초대장에 “우리의 꿈이 무엇인지 상기시키고, 그 꿈을 향해 우리는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치유의 장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고 썼다. 그리고는 “더불어 남은 날을 하염없이 미워할는지, 아니면 어제보다 더 사랑할는지 마음 깊이 사려하는 시간이 되었으면 한다”고 했다.

오늘 저녁 산사 음악회에는 대중가수도 초청됐지만 청량사의 둥근소리 합창단과 둥근소리 밴드, 사물놀이, 어린이 밴드도 나선다. 문화의 혜택이 적은 봉화 지역 주민에 대한 청량사의 노력이 적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4-10-04 23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