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줄루족의 자장가 ‘툴라 툴라’(Tula tula·조용히 조용히)는 한 번 들으면 잊히지가 않는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이 부른 것이 특히 인상적이다. 드라켄스버그는 남아공 중동부 고원지대에 있다. 이 나라의 최대 종족인 줄루족 거주 지역이다. 드라켄스버그 학교는 수준 높은 교육으로 유럽에서도 인기 있는 기숙형 음악교육기관이다. 단원은 유럽과 아프리카 출신이 섞여 있는데 ‘툴라 툴라’를 부른 소년은 줄루족이었을 것이다. 유럽인이 줄루족 노래의 시김새를 그토록 구성지게 소화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은 1992년 세계합창제에서 오스트리아의 빈 소년합창단을 제치고 우승했다. 유서 깊은 유럽 합창단과 당당히 겨룰 수 있을 만한 실력은 갖추고 있었지만 그것만으로 세계 최고의 합창단을 넘어선 것은 아니다. 결정적 요인은 만델라였다. 엇그제 세상을 떠난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 그 사람이다. 1990년 만델라가 27년의 수감 생활 끝에 풀려난 직후다. 당연히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우승도 당시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만델라 열풍’과 무관할 수 없었다.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홈페이지에는 ‘바흐에서 머큐리까지’라는 문구가 걸려 있었다. 고전음악의 대가 바흐와 20세기 유행음악을 대표하는 영국의 록 그룹 퀸의 리더였던 프레디 머큐리를 앞세운 것이다. 모든 시대, 모든 장르의 음악이 문제없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하지만 국제 음악계가 높이 평가한 결정적 이유는 아프리카 음악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겠다는 이들의 진지함 때문이다.
이 합창단의 중요한 레퍼토리 중 하나는 남아공 제2의 국가(國歌)라는 ´쇼숄로자’(shosholoza). 백인정부 당시 흑백 분리주의 정책(아파르트헤이트) 치하의 흑인 잡역부들이 증기기관차를 타고 탄광으로 향하며 부르는 노래다. 영화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으로 나서 만델라가 럭비월드컵을 치르며 흑백화합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 ‘인빅터스’(Invictus)에서도 뉴질랜드와 결승전에서 이 노래가 응원가로 끊임없이 불리는 장면이 나온다.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세계합창제 우승은 유럽음악이 세계음악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국제음악계가 인정하기 시작한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됐다. 역설적으로 음악은 바흐로 시작해 머큐리로 끝난다는 유럽인의 고정관념을 바꾸어 놓은 것이다. 그것이 정치·사회 분야에만 그치지 않고 문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만델라의 힘이다. 어제는 그의 장례식이 있었다. 명복을 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은 1992년 세계합창제에서 오스트리아의 빈 소년합창단을 제치고 우승했다. 유서 깊은 유럽 합창단과 당당히 겨룰 수 있을 만한 실력은 갖추고 있었지만 그것만으로 세계 최고의 합창단을 넘어선 것은 아니다. 결정적 요인은 만델라였다. 엇그제 세상을 떠난 넬슨 만델라 전 남아공 대통령 그 사람이다. 1990년 만델라가 27년의 수감 생활 끝에 풀려난 직후다. 당연히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우승도 당시 전 세계적으로 불어닥친 ‘만델라 열풍’과 무관할 수 없었다.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홈페이지에는 ‘바흐에서 머큐리까지’라는 문구가 걸려 있었다. 고전음악의 대가 바흐와 20세기 유행음악을 대표하는 영국의 록 그룹 퀸의 리더였던 프레디 머큐리를 앞세운 것이다. 모든 시대, 모든 장르의 음악이 문제없다는 자신감의 표현이다. 하지만 국제 음악계가 높이 평가한 결정적 이유는 아프리카 음악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겠다는 이들의 진지함 때문이다.
이 합창단의 중요한 레퍼토리 중 하나는 남아공 제2의 국가(國歌)라는 ´쇼숄로자’(shosholoza). 백인정부 당시 흑백 분리주의 정책(아파르트헤이트) 치하의 흑인 잡역부들이 증기기관차를 타고 탄광으로 향하며 부르는 노래다. 영화배우 클린트 이스트우드가 감독으로 나서 만델라가 럭비월드컵을 치르며 흑백화합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그린 영화 ‘인빅터스’(Invictus)에서도 뉴질랜드와 결승전에서 이 노래가 응원가로 끊임없이 불리는 장면이 나온다.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의 세계합창제 우승은 유럽음악이 세계음악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국제음악계가 인정하기 시작한 또 하나의 전환점이 됐다. 역설적으로 음악은 바흐로 시작해 머큐리로 끝난다는 유럽인의 고정관념을 바꾸어 놓은 것이다. 그것이 정치·사회 분야에만 그치지 않고 문화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 만델라의 힘이다. 어제는 그의 장례식이 있었다. 명복을 빈다.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12-1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