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는 타이밍이다. 그 타이밍은 정치인의 ‘발언’으로 전달된다. 정치인이 대중적인 인지도를 쌓고 성장하려면 적시에 필요한 말을 구사하는 감각이 있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발언은 홈런이 아니라 병살타가 되기 십상이다. 홈런성 발언은 수세적 상황을 만회하고 나아가 정계개편과 같은 큰 판을 만드는 동인이 되기도 한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정계복귀 선언 등이 그랬다. 병살타성 발언은 언론에 무시되느니만 못하다. 일사(一死)에 주자가 만루인데 점수를 내줄 것으로 믿었던 4번 타자가 평범한 내야플라이 병살타로 공수(攻守) 체인지를 일으키는 것과 같다.
문재인 의원이 최근 대선회고록 출간을 기념한 기자간담회에서 한 “2017년 대권 도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발언은 참으로 문제적인 발언이다. 선제적이고 자발적이라기보다는 기자의 질문에 답변한 것이라지만 뜬금없는 소리가 아닐 수 없다. 부적절한 시점에 부적절한 발언이기 때문이다. ‘정치9단’쯤 되는 노련한 정치인이라면 다음 번에 답변하겠다고 슬쩍 넘어갔을 것이다. 대선 직후 “개인적인 꿈을 접는다”고 했지만 야당 대선후보 사상 최고인 1469만표(48.2%) 를 얻은 그가 다음 대선에서 뒷짐만 지고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대선을 4년이나 앞둔 상황에서 ‘2017년 대권 도전’이 과연 얼마나 파괴력이 있겠는가. 당장 ‘대권병에 걸렸냐’는 비난이 날아오지 않는가.
야당과 국민이 지난 대선의 당사자로서 문 의원에게 기대하는 발언은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국가기관들이 지난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의혹에 대해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를 촉구하고, 관련 책임자를 엄중 처벌하라고 요구하는 말일 것이다. 또 검찰 수사를 방해하려는 청와대와 법무부 등에 대해 비판하고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목소리일 것이다. 불공정한 선거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화해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으라는 게 국민의 바람이다. 그런 만큼 그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노 인사들에게 정치적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라느니 안철수 신당 추진을 견제하려는 의도라느니 하는 ‘조잡하지만 그럴듯한 해석’이 나오지 않도록 스스로를 경계했어야 했다.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지냈지만 문 의원의 지난 1년 발언을 돌아보면 정치인이라기보다 법조인에 더 가깝다. 법조인들이 정계에 입문하면 흔히 겪는 애로사항이 ‘폴리티컬 마인드’를 장착하지 못하는 것이다. 정치는 사라지고 통치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신의 한수’와 같은 발언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정치 고수가 그립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문재인 의원이 최근 대선회고록 출간을 기념한 기자간담회에서 한 “2017년 대권 도전을 회피하지 않겠다”는 발언은 참으로 문제적인 발언이다. 선제적이고 자발적이라기보다는 기자의 질문에 답변한 것이라지만 뜬금없는 소리가 아닐 수 없다. 부적절한 시점에 부적절한 발언이기 때문이다. ‘정치9단’쯤 되는 노련한 정치인이라면 다음 번에 답변하겠다고 슬쩍 넘어갔을 것이다. 대선 직후 “개인적인 꿈을 접는다”고 했지만 야당 대선후보 사상 최고인 1469만표(48.2%) 를 얻은 그가 다음 대선에서 뒷짐만 지고 있으리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대선을 4년이나 앞둔 상황에서 ‘2017년 대권 도전’이 과연 얼마나 파괴력이 있겠는가. 당장 ‘대권병에 걸렸냐’는 비난이 날아오지 않는가.
야당과 국민이 지난 대선의 당사자로서 문 의원에게 기대하는 발언은 국가정보원을 비롯한 국가기관들이 지난 대선에 조직적으로 개입한 의혹에 대해 검찰의 성역없는 수사를 촉구하고, 관련 책임자를 엄중 처벌하라고 요구하는 말일 것이다. 또 검찰 수사를 방해하려는 청와대와 법무부 등에 대해 비판하고 검찰개혁을 촉구하는 목소리일 것이다. 불공정한 선거가 다시는 반복되지 않도록 제도화해 민주주의의 퇴행을 막으라는 게 국민의 바람이다. 그런 만큼 그는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친노 인사들에게 정치적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라느니 안철수 신당 추진을 견제하려는 의도라느니 하는 ‘조잡하지만 그럴듯한 해석’이 나오지 않도록 스스로를 경계했어야 했다.
인권변호사 출신으로 청와대 비서실장까지 지냈지만 문 의원의 지난 1년 발언을 돌아보면 정치인이라기보다 법조인에 더 가깝다. 법조인들이 정계에 입문하면 흔히 겪는 애로사항이 ‘폴리티컬 마인드’를 장착하지 못하는 것이다. 정치는 사라지고 통치만 남아 있는 상황이다. ‘신의 한수’와 같은 발언으로 돌파구를 마련할 정치 고수가 그립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12-0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