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장수 리스크/오승호 논설위원

[씨줄날줄] 장수 리스크/오승호 논설위원

입력 2013-11-25 00:00
수정 2013-11-25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장관급을 지낸 60대 중반의 한 인사는 “100세까지 사는 시대가 왔는데 지금 클럽하우스로 갈 수는 없지 않느냐”면서 “요즘 뭐하느냐고 물으면 ‘그늘집에 있다’고 표현한다”고 말한다. 골프장에 비유하면 라운딩을 하는 도중 그늘집에서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다는 얘기로, 앞으로도 왕성한 활동을 하겠다는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공직자 출신의 60대 지인은 “나이 든 사람들이 인식을 바꾸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전원생활을 하게 되면 업그레이드가 안 된다”면서 “80대 중반까지는 정당한 대가를 받고 경제 활동을 하겠다”고 100세 시대의 의지를 다진다.

올 초에는 ‘현대나이계산법’이 등장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현재 전체 인구에서 85세 이상 인구 비중은 50년 전 85세에 0.8을 곱한 68세 이상과 비슷한 점을 들어 자기 나이에 0.8을 곱한 수치가 실제 생활에서 진짜 나이라는 주장이다. 세계 최장수 국가 일본에서는 0.7을 곱하기도 한다. 의학발달과 건강관리 등으로 기대수명은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중은 1970년 3.1%에 불과했다. 그러나 올해는 노인 인구가 613만 7702명으로 12.2%로 높아졌다. 2017년에는 14%로 고령사회로 접어들 전망이다. 전남(21.4%), 전북·경북(17.5%), 강원(16.4%) 등은 이미 고령사회다. 2011년 기준 우리나라의 기대수명은 81.1세로 OECD 평균(80.1세)을 웃돈다. 의료선진국인 독일(80.8세)이나 미국(78.7세)보다 높다.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는 사실이 저절로 느껴진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생명보험사의 종신형 개인연금 보험계약 748만건을 분석한 결과 장수 리스크(Longevity Risk) 규모는 7조 6000억~14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보험계약자의 실제 수명이 보험계약 때 반영한 수명에 비해 늘어나면서 예상되는 연금지급액 증가 규모다.

장수는 재앙이 아닌 축복이어야 한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질병 없이 사는 건강수명은 72.6세로 기대수명과 8년 이상 차이가 난다. 병치레를 많이 한다는 의미다. 오래 살아 생기는 위험 부담, 즉 장수 리스크를 줄이는 방법을 다각도로 찾아야 한다. 60세 이상 가구의 소득에서 공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6.6%로 일본(57.4%), 미국(55.8%), 독일(77.6%)에 비해 턱없이 낮다. 공적연금제도나 공공근로사업, 긴급구호제도 등 사회안전망을 전반적으로 재정비해야 한다. 근본 대책은 나이 든 사람들이 풍부한 경험을 살려 일을 더 오래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드는 것이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3-11-25 31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북특별자치도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가능할까?
전북도가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도전을 공식화했습니다. 전북도는 오래전부터 유치를 준비해 왔다며 자신감을 보였지만 지난해 ‘세계잼버리’ 부실운영으로 여론의 뭇매를 맞은 상황이라 유치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있습니다. 전북도의 올림픽 유치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가능하다
불가능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