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6년 병인양요 당시 프랑스군이 약탈한 강화도 외규장각의 의궤 297권은 2011년이 되어서야 모두 돌아올 수 있었다. 외교부가 프랑스 정부에 반환을 공식 요구한 것이 1991년이니 20년에 걸친 협상의 결과였다. 협상 과정은 우여곡절의 연속이었지만, 자칫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만큼 비밀에 부쳐졌다. 그런데 최근 출간된 ‘돌아온 외규장각 의궤와 외교관 이야기’에 뒷얘기가 소개되어 눈길을 끈다. 지은이는 15년 동안 도서 반환을 위한 실무협상을 벌인 유복렬 미국 애틀랜타 부총영사이다.
흥미로운 대목은 프랑스국립도서관 관계자들의 태도였다. 사서들은 1993년 당시 ‘휘경원원소도감의궤’를 한국에 돌려주려는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을 눈물로 가로막아 뉴스를 타기도 했다. 입수 경위야 어떻든, 국립도서관의 귀중한 장서를 나라 밖으로는 절대로 보낼 수 없다며 대통령에게까지 집단행동을 하는 모습은 유럽사람들의 철저한 직업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우리 언론의 기사를 읽은 적도 있다. 반환에 저항한 대표적 인물이 자크린 상송 국립도서관 사무장. 상송 사무장은 이후 협상 과정에서도 반환의 ‘걸림돌’ 역할을 톡톡히 했던 듯하다. 그의 철두철미함에는 유 부총영사조차 “이런 사람이야말로 결국 그 나라의 힘이고, 그 나라를 지탱하는 자존심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술회했을 정도이다.
물론 프랑스 사서들이 의궤의 가치를 깨닫고 있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 박사가 1975년 외규장각 도서를 발견한 곳은 프랑스국립도서관의 파리 본관이 아닌 베르사유 분관이었다. 그렇게 귀중하게 생각한다는 의궤를 보관하고 있었던 장소는 ‘파손 도서’ 창고였다. 그것도 도서관 장서 관리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도서카드조차 작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 도서’로 분류해 놓고 있었다. 프랑스 학계가 외규장각 의궤를 해독한 비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사실상 활용 불가능한 상태로 처박아둔 꼴이었다. 철저한 직업정신은커녕 기본적인 직업의식조차 갖추었다고 보기 어려울 지경이다.
그럼에도 프랑스도서관 관계자들의 눈물은 진심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본질은 국익을 지키고자 미테랑 대통령과 배역을 나눈 일종의 ‘연기’일 수밖에 없다. 반가사유상의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전시를 불허했다가 다시 허용한 것도 연기여야 했다. 적절한 시나리오만 뒷받침됐다면, 정부 내부의 혼선이 아니라 한국 문화의 값어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고단수 전략이 되지 않았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흥미로운 대목은 프랑스국립도서관 관계자들의 태도였다. 사서들은 1993년 당시 ‘휘경원원소도감의궤’를 한국에 돌려주려는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을 눈물로 가로막아 뉴스를 타기도 했다. 입수 경위야 어떻든, 국립도서관의 귀중한 장서를 나라 밖으로는 절대로 보낼 수 없다며 대통령에게까지 집단행동을 하는 모습은 유럽사람들의 철저한 직업정신을 상징적으로 보여준 사례라는 우리 언론의 기사를 읽은 적도 있다. 반환에 저항한 대표적 인물이 자크린 상송 국립도서관 사무장. 상송 사무장은 이후 협상 과정에서도 반환의 ‘걸림돌’ 역할을 톡톡히 했던 듯하다. 그의 철두철미함에는 유 부총영사조차 “이런 사람이야말로 결국 그 나라의 힘이고, 그 나라를 지탱하는 자존심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다”고 술회했을 정도이다.
물론 프랑스 사서들이 의궤의 가치를 깨닫고 있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 재불 서지학자 박병선 박사가 1975년 외규장각 도서를 발견한 곳은 프랑스국립도서관의 파리 본관이 아닌 베르사유 분관이었다. 그렇게 귀중하게 생각한다는 의궤를 보관하고 있었던 장소는 ‘파손 도서’ 창고였다. 그것도 도서관 장서 관리에서 기본 중의 기본인 도서카드조차 작성하지 않은 상태에서 ‘중국 도서’로 분류해 놓고 있었다. 프랑스 학계가 외규장각 의궤를 해독한 비율이 1%에도 미치지 못한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사실상 활용 불가능한 상태로 처박아둔 꼴이었다. 철저한 직업정신은커녕 기본적인 직업의식조차 갖추었다고 보기 어려울 지경이다.
그럼에도 프랑스도서관 관계자들의 눈물은 진심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본질은 국익을 지키고자 미테랑 대통령과 배역을 나눈 일종의 ‘연기’일 수밖에 없다. 반가사유상의 미국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전시를 불허했다가 다시 허용한 것도 연기여야 했다. 적절한 시나리오만 뒷받침됐다면, 정부 내부의 혼선이 아니라 한국 문화의 값어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고단수 전략이 되지 않았을까.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3-08-15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