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헌책처럼, 가을처럼

[길섶에서] 헌책처럼, 가을처럼

황수정 기자
황수정 기자
입력 2024-10-02 03:53
수정 2024-10-02 03:5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오래된 책을 인터넷을 뒤져 손에 넣는 즐거움. 헌책 읽는 맛이 제법이다.

우정과 동치미는 묵혀야 제맛이고 책만은 새것이라야 한다고 고집했더랬다. 옛 문사들이야 손때 묻은 책의 운치를 자랑하고는 했다. 작가 이태준은 “먼지를 털고 겨드랑 땀내 같은 것을 풍기는” 묵은 책들을 글로써 예찬했다. 그렇게 연륜이 깊은들 새 잉크의 쨍한 맛을 당해 낼까 싶었다.

삶의 묘미를 삶의 모퉁이에서 만난다. 세월을 돌다 온 헌책에 덤이 붙어 온다. 책갈피 가운데 가부좌를 틀고 앉은 마른 단풍잎. 늦가을 어느 오후에 누군가의 상념이 저리 붉었을까. 꼼짝없이 박제된 하루살이 한 마리. 깊은 여름 어느 밤에 누가 잠 못 들어 뒤챘을까. 그 누가 그어 놓은 밑줄에 오래 눈이 간다.

군생각들이 성가시지 않다. 손때로 모서리 둥글어진 책을 읽으면 밀린 잠이 밀려온다. 돌아온 나그네의 긴 잠처럼. 누워 읽다 깜박 졸음에 콧등이 찍혀도 아무 탈 없다. 그저 괜찮다.

시간을 겪어 제 몸 둥글린 헌책처럼, 여물어 순해지는 가을 열매처럼. 둥글둥글하게, 구수하게.
2024-10-02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연예인들의 음주방송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최근 방송인 전현무 씨와 가수 보아 씨가 취중 상태에서 인스타그램 라이브 방송을 진행하면서 논란이 됐습니다. 요즘 이렇게 유명인들이 SNS 등을 통한 음주방송이 하나의 트렌드가 되고 있는데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주를 조장하는 등 여러모로 부적절하다.
자연스러운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는 방법 중 하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