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조선의 장인/문소영 논설위원

[길섶에서] 조선의 장인/문소영 논설위원

문소영 기자
입력 2022-07-24 20:32
수정 2022-07-25 01: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길섶에서
길섶에서
소설이나 가요에 ‘이름 모를 새’라든지 ‘이름 없는 잡초’라느니 하는 표현이 한때 많았다. 감정에 몰입할 때는 모호해야 낭만적으로 보였던 것일까.

그러나 사실은 그 소설가나 작사가가 알려 하지 않았을 뿐 시골 사람들은 의외로 이름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라틴어 학명은 모른다 쳐도 그 지역에서 흔히 부르는 이름들이 있었을 테니 말이다. 비슷한 표현으로 ‘이름 모를 장인’이 있다. 조선 왕실 도자기조차 이름 없는 도공이 제작했다고 했다. 장인을 우대하지 않아 조선 후기 상공업의 발달이 저해됐다는 해석들도 있다. 중국에선 송나라 때부터, 유럽에선 15세기 무렵부터 장인들의 이름이 널리 알려진 것과 비교됐다.

서울시의 공예박물관 전시에서 신선한 경험을 했다. 소현세자부터 구한말 순종까지 왕실의 혼례 기록에서 조선 장인 이름이 무려 8000여명 나왔단다. 관심이 적어 사람들이 몰랐을 뿐이지 새·풀·나무는 물론 이름 없는 장인이란 애초에 없는 게 아닐까.

2022-07-25 27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추계기구’ 의정 갈등 돌파구 될까
정부가 ‘의료인력 수급 추계기구’ 구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이 기구 각 분과위원회 전문가 추천권 과반수를 의사단체 등에 줘 의료인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의사들은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없이 기구 참여는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이 추계기구 설립이 의정 갈등의 돌파구가 될 수 있을까요?
그렇다
아니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