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해 전 아버지를 전남 ○○군 고향 마을에 모셨다. 올봄 아버지 산소에 꽃나무 몇 그루를 심으려고 광주에 있는 꽃집을 찾았다. 제법 젊은 꽃집 사장님이 반기며 몇 그루가 필요하냐, 어디에 심을 거냐 등등 친절하게 말을 건넸다. 비가 주룩거리는데도 하우스 여기저기를 다니며 수종별 특성 등을 꼼꼼히 설명해 줬다. 그러다 ○○군 아버지 산소에 심으려 한다 하니 눈을 반짝이며 “나도 ○○군이 고향인데, 어디시냐”고 한 걸음 더 깊이 물었다. “△△리”라고 답했다. 그러자 꽃집 사장님은 “△△리요? 저는 ○○읍인데요”라고 응수한다. 대놓고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읍내 출신이라는 자부심이 은연중 묻어났다.
시골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을 만나러 1~2주에 한 번씩 주말에 내려간다. 묻지도 않는데 굳이 “읍에 살고 있다”고 말하는 택시기사도 봤다. 읍에는 군청이 있고 상업·편의시설이 몰려 있어 상대적으로 번화하다. 그래서인지 ‘읍부심’(읍+자부심)을 가진 이들이 제법 있다. 도회지 사람들에게 읍 출신이라 뽐내지야 않겠지만 같은 군민끼리는 자랑할 만한 일인 듯하다. 외지인 눈에야 평화로운 농촌 마을로만 보이겠지만, 몹시 고단한 노동 위에 세워진 곳임을 아는 이들로선 ‘읍부심’을 강조하고 싶을지도 모르겠다.
시골 학교에 다니는 아이들을 만나러 1~2주에 한 번씩 주말에 내려간다. 묻지도 않는데 굳이 “읍에 살고 있다”고 말하는 택시기사도 봤다. 읍에는 군청이 있고 상업·편의시설이 몰려 있어 상대적으로 번화하다. 그래서인지 ‘읍부심’(읍+자부심)을 가진 이들이 제법 있다. 도회지 사람들에게 읍 출신이라 뽐내지야 않겠지만 같은 군민끼리는 자랑할 만한 일인 듯하다. 외지인 눈에야 평화로운 농촌 마을로만 보이겠지만, 몹시 고단한 노동 위에 세워진 곳임을 아는 이들로선 ‘읍부심’을 강조하고 싶을지도 모르겠다.
2021-10-27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