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식을 장가보내고 보니 우리 부모님의 심경과 고충을 알겠네.” 최근 맏아들을 장가보낸 한 친구의 넋두리가 예사로이 들리지 않았다. “그 어렵던 시절 4~5명 이상의 자식을 교육시키고 결혼까지 책임졌던 부모님 생각이 앞섰다”며 혼주가 된 소감을 차분하게 들려줬다.
친구의 말과 표정에서 새삼 우리 주변 모든 부모님의 삶이 ‘위대함’으로 다가왔다. 보릿고개라는 단어가 채 가시지 않은 시절임에도 4~5명의 자식을 교육시키고 혼사까지 마무리해야 책임을 다했노라고 한숨 놓으시던 부모님들. 모두가 대단한 삶을 사셨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기껏해야 1~2명뿐인 자식조차 제대로 뒷바라지 못 할까 노심초사하는 게 우리 주변의 부모 모습이 아닌가.
딱히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세태가 우리 삶을 더욱 어렵고 힘들게 만들고 있다고 변명도 해 보고 싶다. 복잡해진 세상살이에 쉽게 지치고, 풍요로움 속에 뒤처질세라 언제나 부족한 듯 허둥지둥 살고 있는 모습. 역할을 다해 냈다는 뿌듯함보다는 허전함이 더 큰 삶에 초라함이 느껴진다. 부모 역할이 그리 쉽지 않다는 생각이 자꾸만 커져 간다. 이제야 철이 드는 것일까. “내가 부모 되어서 알아보리라”는 소월의 시구가 불현듯 떠오른다.
yidonggu@seoul.co.kr
친구의 말과 표정에서 새삼 우리 주변 모든 부모님의 삶이 ‘위대함’으로 다가왔다. 보릿고개라는 단어가 채 가시지 않은 시절임에도 4~5명의 자식을 교육시키고 혼사까지 마무리해야 책임을 다했노라고 한숨 놓으시던 부모님들. 모두가 대단한 삶을 사셨다는 생각이 든다. 요즘은 기껏해야 1~2명뿐인 자식조차 제대로 뒷바라지 못 할까 노심초사하는 게 우리 주변의 부모 모습이 아닌가.
딱히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세태가 우리 삶을 더욱 어렵고 힘들게 만들고 있다고 변명도 해 보고 싶다. 복잡해진 세상살이에 쉽게 지치고, 풍요로움 속에 뒤처질세라 언제나 부족한 듯 허둥지둥 살고 있는 모습. 역할을 다해 냈다는 뿌듯함보다는 허전함이 더 큰 삶에 초라함이 느껴진다. 부모 역할이 그리 쉽지 않다는 생각이 자꾸만 커져 간다. 이제야 철이 드는 것일까. “내가 부모 되어서 알아보리라”는 소월의 시구가 불현듯 떠오른다.
yidonggu@seoul.co.kr
2020-11-24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