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4학년인 딸아이는 요즘 겨울방학보다 긴 봄방학을 보내고 있다. 친구들과 놀 수도, 학원에 갈 수도 없으니 말 그대로 ‘자가 격리’ 상태다. 지루할 법한데도 투정을 부리지 않아 대견하면서도 활동량이 줄어들어 육체적 성장과 심리적 안정이 염려되기도 한다. 아이 엄마는 요리나 청소와 같은 집안일을 함께 하고, 나는 동네 산책을 함께 나서는 식으로 ‘코로나19나기’를 하고 있다.
코로나19가 갑작스레 바꿔 놓은 일상은 어른이든 아이든 적응이 쉽지 않다. 악수를 야구장에서나 봐 왔던 ‘주먹 인사’나 신체 접촉이 없는 ‘손 하트’ 등으로 대신한다. 식사를 할 때는 ‘마주 앉기’ 대신 ‘나란히 앉기’, ‘지그재그 앉기’, ‘나눠 먹기’보단 ‘따로 먹기’가 예절처럼 여겨진다.
위생수칙을 지키는 생활건강 못지않게 심리건강도 챙겨야 하지 않을까. 웃을 일이 별로 없으니 더욱 그렇다. 우리 사회에는 코로나19 확진자와 살이 ‘확찐자’ 둘 중 하나라거나, 마스크가 터질 듯이 들어 있는 사진을 ‘재벌 지갑’에 빗대는 ‘블랙 유머’마저 반갑게 느껴진다. 다른 사람을 만날 때 염려를 앞세우기보단 덕담부터 건네는 게 어떨까. 사회적으로는 ‘거리 두기’가, 심리적으로는 ‘거리 좁히기’가 필요한 때다.
코로나19가 갑작스레 바꿔 놓은 일상은 어른이든 아이든 적응이 쉽지 않다. 악수를 야구장에서나 봐 왔던 ‘주먹 인사’나 신체 접촉이 없는 ‘손 하트’ 등으로 대신한다. 식사를 할 때는 ‘마주 앉기’ 대신 ‘나란히 앉기’, ‘지그재그 앉기’, ‘나눠 먹기’보단 ‘따로 먹기’가 예절처럼 여겨진다.
위생수칙을 지키는 생활건강 못지않게 심리건강도 챙겨야 하지 않을까. 웃을 일이 별로 없으니 더욱 그렇다. 우리 사회에는 코로나19 확진자와 살이 ‘확찐자’ 둘 중 하나라거나, 마스크가 터질 듯이 들어 있는 사진을 ‘재벌 지갑’에 빗대는 ‘블랙 유머’마저 반갑게 느껴진다. 다른 사람을 만날 때 염려를 앞세우기보단 덕담부터 건네는 게 어떨까. 사회적으로는 ‘거리 두기’가, 심리적으로는 ‘거리 좁히기’가 필요한 때다.
2020-03-10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