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우리는 성탄절(聖誕節)이라 한다. 거룩한 존재 또는 거룩한 성인 중 한 분이 태어난 날쯤으로들 받아들일 것이다.
미국에서는 ‘해피 할러데이’로 부르는 이들이 많아졌다. 종교적 색채가 짙다는 생각에서다. 이것이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과 맞물려서는 ‘크리스마스 전쟁’(War on Christmas)으로 확대됐다. 비기독교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논쟁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다만 그 ‘나무’만큼은 아직 ‘할러데이 트리´로 부르자는 주장은 없는 것 같다. ‘추수감사절’(Thanks giving)은 어떻게 이 논란을 비켜갔을까. 혹 추수에 대한 감사를 스스로에게 또는 비구름이나 땅에게 돌리고 있는 이들이 많아서일까?
이런 일에는 우리가 더 유연한 것 같다.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을 기리기 때문 아닐까도 싶다. 불탄일(佛誕日), ‘부처님오신날’이다. 미국식 정치적 올바름으로 하자면, 우리는 숫자를 붙여 해피 할러데이 1이나 2로 기려야 할 일이다. 아직 이런 주장이 없어 다행이다.
특정한 날을 기리는 것은 연원이 있기 마련인데, 이름이 그 연원을 담지 못하면 세월이 지나서는 누구를, 무엇을 기념한 날인지 헷갈릴 수도 있지 않겠나.
jj@seoul.co.kr
미국에서는 ‘해피 할러데이’로 부르는 이들이 많아졌다. 종교적 색채가 짙다는 생각에서다. 이것이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과 맞물려서는 ‘크리스마스 전쟁’(War on Christmas)으로 확대됐다. 비기독교인들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과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고 있다는 논쟁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다만 그 ‘나무’만큼은 아직 ‘할러데이 트리´로 부르자는 주장은 없는 것 같다. ‘추수감사절’(Thanks giving)은 어떻게 이 논란을 비켜갔을까. 혹 추수에 대한 감사를 스스로에게 또는 비구름이나 땅에게 돌리고 있는 이들이 많아서일까?
이런 일에는 우리가 더 유연한 것 같다. 석가탄신일(釋迦誕辰日)을 기리기 때문 아닐까도 싶다. 불탄일(佛誕日), ‘부처님오신날’이다. 미국식 정치적 올바름으로 하자면, 우리는 숫자를 붙여 해피 할러데이 1이나 2로 기려야 할 일이다. 아직 이런 주장이 없어 다행이다.
특정한 날을 기리는 것은 연원이 있기 마련인데, 이름이 그 연원을 담지 못하면 세월이 지나서는 누구를, 무엇을 기념한 날인지 헷갈릴 수도 있지 않겠나.
jj@seoul.co.kr
2019-12-25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