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개 끝냈어. 이제 서너 개만 더 하면 돼.” 엊그제 만난 친구는 지친 얼굴 속에서도 내심 뿌듯함을 담아 말했다. 친구 몇몇의 술자리건만 다시 힘차게 네 번째 초록병을 비틀었다. 송년회의 계절이다. 언제부턴가 이 연례행사가 마지막 달이 아닌, 11월로 확 당겨졌다. 연일 이어지는 술자리는 고역이다. 힘겨워도 사회생활하는 이에겐 일종의 의무 방어전인지라 그냥 넘어갈 수도 없다. 또 한 해의 끝을 핑계로 한참 못 봤던 친구, 선후배의 얼굴을 보는 반가움 또한 적지 않다. 그야말로 필요악이다.
주취와 해장, 왁자지껄함과 몽롱함의 무한 반복에서 잠시 빠져나와 가만히 한 해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때다. 자신이 얼마나 욕망에서 허우적대며 지냈는지, 고마운 사람에게 혹은 미안한 사람에게 그 마음을 제대로 표하지 못했는지, 가까운 이의 아픔에 무심했는지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다.
똑같은 시간의 흐름이지만 해가 있고, 월이 있음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 시간표가 있기에 삶의 번잡함과 고단함, 관계의 미안함과 소중함 등을 하나씩 갈무리하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해 볼 수 있다. 그것이 진짜 송년(送年)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여야 한다. 설령 한 해 저물 때마다 매번 반복되는 일일지라도.
youngtan@seoul.co.kr
주취와 해장, 왁자지껄함과 몽롱함의 무한 반복에서 잠시 빠져나와 가만히 한 해를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야 할 때다. 자신이 얼마나 욕망에서 허우적대며 지냈는지, 고마운 사람에게 혹은 미안한 사람에게 그 마음을 제대로 표하지 못했는지, 가까운 이의 아픔에 무심했는지 들여다볼 수 있는 기회다.
똑같은 시간의 흐름이지만 해가 있고, 월이 있음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그 시간표가 있기에 삶의 번잡함과 고단함, 관계의 미안함과 소중함 등을 하나씩 갈무리하고 새로운 시작을 다짐해 볼 수 있다. 그것이 진짜 송년(送年)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여야 한다. 설령 한 해 저물 때마다 매번 반복되는 일일지라도.
youngtan@seoul.co.kr
2019-11-28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