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빠 죽겠다”는 말을 입에 달고 사는 지인이 있다. 공무원인 그는 전화통화를 할 때마다 쫓기는 듯해 외려 내가 불안해진다. 알고 지낸 지가 십수년인데, 전화에서든 만났을 때든 여유롭게 대화를 나눠 본 기억이 없다. 며칠 전 그에게 안부 전화를 했다. 지난 연말 인사에서 누가 봐도 한직인 부서로 옮긴 터였다. “이제 좀 여유가 생겼겠네”란 내 말에 그는 “여기도 와 보니 일이 장난이 아니네. 정리되면 연락할게”라고 답한다. 인사가 난 지 벌써 두 달인데 그는 아직도 ‘정리 중’이다.
정반대의 친구도 있다. 대기업 임원인 그는 연말 인사에서 승진해 핵심 부문장 자리에 올랐다. “많이 바쁘겠다”란 전화 인사에 그는 “바쁠 게 뭐 있나. 일이 거기서 거기지”라며 점심이나 하잔다. 약속으로 꽉 찬 달력에서 빈자리 하나를 찾으려 애쓰는 모습이 전화기 너머로 느껴진다. 30년 지기인 그는 내 기억에 어느 자리에 있을 때건 특별히 바쁜 내색을 한 적이 없다. 바쁨도 중독된다고 한다. 실제 일이 많아서가 아니라 그렇게 보여야 열심히 사는 사람으로 인정받는다는 강박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바쁨의 대부분은 결국 몸이 아니라 마음의 바쁨인 것을. 바쁨을 바쁨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친구의 여유가 부럽다.
sdragon@seoul.co.kr
정반대의 친구도 있다. 대기업 임원인 그는 연말 인사에서 승진해 핵심 부문장 자리에 올랐다. “많이 바쁘겠다”란 전화 인사에 그는 “바쁠 게 뭐 있나. 일이 거기서 거기지”라며 점심이나 하잔다. 약속으로 꽉 찬 달력에서 빈자리 하나를 찾으려 애쓰는 모습이 전화기 너머로 느껴진다. 30년 지기인 그는 내 기억에 어느 자리에 있을 때건 특별히 바쁜 내색을 한 적이 없다. 바쁨도 중독된다고 한다. 실제 일이 많아서가 아니라 그렇게 보여야 열심히 사는 사람으로 인정받는다는 강박에서 비롯된 것이리라. 바쁨의 대부분은 결국 몸이 아니라 마음의 바쁨인 것을. 바쁨을 바쁨으로 받아들이지 않는 친구의 여유가 부럽다.
sdragon@seoul.co.kr
2019-02-27 3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