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생활은 줄서기의 연속이다. 출퇴근길의 지하철 에스컬레이터 입구나 음식점 계산대 앞 등 수많은 줄서기를 한다. 선택의 연속이기도 하다. 지하철 차량의 어떤 공간을 이용할지, 할인마트 계산대 앞 행렬 중 어디에 설지 등 늘 고르게 된다.
줄서기가 사회구성원이 지켜야 할 기계적 규범이라면, 선택은 자율의 영역이다. 그런데 이 자율은 일탈이라는 유혹과 마주할 때가 많다.
지하철 문이 열리면 여유공간을 찾는다. 핑크빛 임산부석이 유혹하지만 선택지 밖이다. 아니 기피석이다. 앉았다가 임산부로 보이는 승객에게 비켜 주면 될 텐데 모두들 피한다. 눈총을 받기 싫은 게다. 지하철 역사 안은 또 다른 유혹의 공간이다. 같은 차량, 다른 칸에서 내렸으나 어느덧 동료가 돼 버린 대열에서 이탈하지 않고 3~4층 위 개표구까지 느릿느릿 갈 것이냐, 승차자 보행공간으로 표시된 라인을 넘나들며 잰걸음으로 갈지를 정해야 한다. 대부분은 행렬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늦었다 싶은 날에는 탈선하는 발걸음도 많다.
산다는 건 줄서기와 선택의 연속이다. 남이 대신해 주면 좋겠지만 이런 일상도 늙게 되면 할 수 없으니, 생활 속 가벼운 일탈을 가자미눈으로만 쳐다보진 말자.
줄서기가 사회구성원이 지켜야 할 기계적 규범이라면, 선택은 자율의 영역이다. 그런데 이 자율은 일탈이라는 유혹과 마주할 때가 많다.
지하철 문이 열리면 여유공간을 찾는다. 핑크빛 임산부석이 유혹하지만 선택지 밖이다. 아니 기피석이다. 앉았다가 임산부로 보이는 승객에게 비켜 주면 될 텐데 모두들 피한다. 눈총을 받기 싫은 게다. 지하철 역사 안은 또 다른 유혹의 공간이다. 같은 차량, 다른 칸에서 내렸으나 어느덧 동료가 돼 버린 대열에서 이탈하지 않고 3~4층 위 개표구까지 느릿느릿 갈 것이냐, 승차자 보행공간으로 표시된 라인을 넘나들며 잰걸음으로 갈지를 정해야 한다. 대부분은 행렬에서 벗어나지 않지만 늦었다 싶은 날에는 탈선하는 발걸음도 많다.
산다는 건 줄서기와 선택의 연속이다. 남이 대신해 주면 좋겠지만 이런 일상도 늙게 되면 할 수 없으니, 생활 속 가벼운 일탈을 가자미눈으로만 쳐다보진 말자.
2019-02-25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