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래는 술을 마시면 아무나 붙잡고 울었다. 두만강 철교를 건너며 흩날리는 눈발을 보면서도 울었다. 시인을 울린 것은 가난과 고독이 아니라 생명과 자연에 대한 벅찬 감정이었다. 술은 눈물을 끌어올리는 펌프였다. 펑펑 솟았던 그의 눈물은 시가 되었다.
박정만. 박용래만큼 술과 낭만을 사랑했던 그였지만 ‘필화사건’에 죄없이 연루됐다가 흉측한 고문에 육신(肉神)이 처참하게 망가졌다. 야만의 시대에 살면서 하소연할 데도 없었던 시인을 달래준 것은 술과 눈물뿐이었다.
88올림픽이 끝나던 날, 하늘에선 불꽃놀이가 벌어질 때 그는 단칸방에서 사십을 갓 넘긴 나이로 홀로 숨을 거두었다. 그는 죽기 전 20일 동안 소주 100병을 마시며 시 300편을 썼다. 774쪽이나 되는 ‘박정만 시 전집’을 탐닉하듯 읽었다. 마지막 거친 숨결이 생생하다.
“최후의 발악처럼/ 마구잡이 심술로 바람이 불어/ 내 한목숨을 꽃잎처럼 떨어뜨렸어”(‘썩어빠진 잠 속으로’ 중에서), “세상의 물그림자가 수틀처럼 걸려 있어/ 미리내는 한 별을 이 땅에 주고/ 별은 다시 또 하늘로 솟구쳐 날아오르지”(‘저 높푸른 하늘’ 중에서).
시인이 떠난 지 30년. 그를 잊어 가는 세상이 어쩐지 야속하다.
박정만. 박용래만큼 술과 낭만을 사랑했던 그였지만 ‘필화사건’에 죄없이 연루됐다가 흉측한 고문에 육신(肉神)이 처참하게 망가졌다. 야만의 시대에 살면서 하소연할 데도 없었던 시인을 달래준 것은 술과 눈물뿐이었다.
88올림픽이 끝나던 날, 하늘에선 불꽃놀이가 벌어질 때 그는 단칸방에서 사십을 갓 넘긴 나이로 홀로 숨을 거두었다. 그는 죽기 전 20일 동안 소주 100병을 마시며 시 300편을 썼다. 774쪽이나 되는 ‘박정만 시 전집’을 탐닉하듯 읽었다. 마지막 거친 숨결이 생생하다.
“최후의 발악처럼/ 마구잡이 심술로 바람이 불어/ 내 한목숨을 꽃잎처럼 떨어뜨렸어”(‘썩어빠진 잠 속으로’ 중에서), “세상의 물그림자가 수틀처럼 걸려 있어/ 미리내는 한 별을 이 땅에 주고/ 별은 다시 또 하늘로 솟구쳐 날아오르지”(‘저 높푸른 하늘’ 중에서).
시인이 떠난 지 30년. 그를 잊어 가는 세상이 어쩐지 야속하다.
2018-11-13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