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는 인류의 10대 발명품 가운데 하나다. 1790년 프랑스 드 시브라크 백작이 목재 틀에 두 개의 나무바퀴를 연결해 달릴 수 있도록 한 게 효시다. 여기에 1816년 프랑스 니에푸스가 핸들을, 1878년 영국의 맥밀란이 페달을, 1888년 스코틀랜드 수의사 존 보이드가 공기타이어를 각각 추가하면서 지금의 자전거가 됐다. 국내에는 1880년대에 들어와 주요 운송수단이 된다. 옛날 시골 장날이면 닭이든 쌀이든 자전거로 실어 날랐다. 장이 파하면 넘어질 듯하면서도 넘어지지 않는 술 취한 어르신들의 자전거 곡예는 진풍경이었다. 술이 과해 타는 것을 포기하고 끌고 오는 어르신도 적지 않았다. 속도가 느리고, 차가 적어서 그런지 큰 사고는 거의 없었다.
지방자치단체마다 친환경 ‘탈것’인 자전거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서울 세종대로에도 자전거 전용로가 생겼다. 바람직하다. 아쉬운 것은 자전거 도로의 관리다. 인도에 줄을 그어 조성한 자전거 도로는 구분이 잘 안 돼 있거나 비켜가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경우도 많다. 때론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얽혀 시비가 인다. 자전거 평균 속도가 시속 20㎞라고 하니 보행자에겐 위협적이다. 새로 내는 자전거 길 못지않게 기존 자전거 길 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이길 바란다.
김성곤 논설위원 sunggone@seoul.co.kr
지방자치단체마다 친환경 ‘탈것’인 자전거 활성화에 나서고 있다. 서울 세종대로에도 자전거 전용로가 생겼다. 바람직하다. 아쉬운 것은 자전거 도로의 관리다. 인도에 줄을 그어 조성한 자전거 도로는 구분이 잘 안 돼 있거나 비켜가기 어려울 정도로 좁은 경우도 많다. 때론 보행자와 자전거 이용자가 얽혀 시비가 인다. 자전거 평균 속도가 시속 20㎞라고 하니 보행자에겐 위협적이다. 새로 내는 자전거 길 못지않게 기존 자전거 길 개선에도 관심을 기울이길 바란다.
김성곤 논설위원 sunggone@seoul.co.kr
2018-10-11 29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