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끔 동네 가게에 들를 때마다 쫀드기 한두 봉지를 집어 든다. 그때마다 그 공간에 같이 있는 가게 주인과 안사람의 눈빛이 달라짐을 느낀다. 건강을 생각해서라도 그런 것 좀 먹지 말라는 안사람의 눈초리는 올라간다. 가게 쥔장은 그저 빙긋 웃는다. 어린 티를 벗지 못하고, 또 그것 때문에 티격태격하는 모습이 우습다는 표정이다.
어린 시절 시골 아이들 사이에 쫀드기는 몹시 인기 있는 군것질거리였다. 줄줄이 뜯어 먹는 재미가 쏠쏠했고 불에 살짝 구워 먹는 맛은 더했다. 그것 또한 주머니가 ‘빈곤한’ 아이에게는 ‘꿈의 떡’이었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 불황의 척도로 불린다. 경기가 안 좋을수록 쫀드기를 많이 찾는다는 속설이 그럴듯한 경제 이론이 되다시피 했다. 제조업체들이 때깔 나게 보이도록 주황 색소를 많이 쓰다 보니 불량식품의 상징이 돼 버리기도 했다. 가게에 쫀드기 사려는 사람들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은 다행이다. ‘쫀드기 경제’ 운운할 정도로 경기가 나쁘진 않다는 방증일 터다. 유해 공방이 재연되지 않은 것도 고마운 일이다. 덕분에 어릴 적 즐기던 것을 큰 부담 없이 복기할 수 있게 됐으니.
어린 시절 시골 아이들 사이에 쫀드기는 몹시 인기 있는 군것질거리였다. 줄줄이 뜯어 먹는 재미가 쏠쏠했고 불에 살짝 구워 먹는 맛은 더했다. 그것 또한 주머니가 ‘빈곤한’ 아이에게는 ‘꿈의 떡’이었다. 수십 년이 지난 지금까지 불황의 척도로 불린다. 경기가 안 좋을수록 쫀드기를 많이 찾는다는 속설이 그럴듯한 경제 이론이 되다시피 했다. 제조업체들이 때깔 나게 보이도록 주황 색소를 많이 쓰다 보니 불량식품의 상징이 돼 버리기도 했다. 가게에 쫀드기 사려는 사람들이 눈에 띄지 않는 것은 다행이다. ‘쫀드기 경제’ 운운할 정도로 경기가 나쁘진 않다는 방증일 터다. 유해 공방이 재연되지 않은 것도 고마운 일이다. 덕분에 어릴 적 즐기던 것을 큰 부담 없이 복기할 수 있게 됐으니.
2018-05-21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