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님의 산소가 있는 시골 군(郡)에서 발행되는 신문을 얼마 전부터 받아 보고 있다. 그 고장과 관련된 문화행사에 갔다가 지역 신문 기자와 우연히 명함을 주고받은 직후부터 신문이 배달되고 있다. 처음에는 기분이 좋았는데, 신문대금을 내라는 지로용지가 붙어서 오기 시작한 다음부터는 계속 봐야 할지 고민도 없지 않았다.
얼마 전 이 신문을 넘겨 보다 ‘두껍바위’라는 제목의 기사에 눈길이 갔다. 마을의 사랑하는 남녀가 만나기로 한 날 큰비가 내렸고, 약속을 지키려 불어난 냇물을 건너던 처녀가 급류에 떠내려가자 총각은 두꺼비 모양 바위가 됐다는 전설이다. 그런데 그 두껍바위가 사라졌다가 30년 만에 나타났다는 이야기였다. 경지정리를 하면서 간 데를 알 수 없던 두껍바위를 도로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시 찾았다는 것이다.
전설은 면지(面誌)에도 담겼다고 한다. 마을에는 소중한 문화유산일 것이다. 이 이야기를 주요 기사로 썼다. 인간의 일이 아닌 것 같은 흉포한 뉴스만 넘치는 요즈음이다. 소박하지만 미소를 머금게 하는 기사들을 더 볼 수 있다면 신문값을 내도 될 것 같다.
dcsuh@seoul.co.kr
얼마 전 이 신문을 넘겨 보다 ‘두껍바위’라는 제목의 기사에 눈길이 갔다. 마을의 사랑하는 남녀가 만나기로 한 날 큰비가 내렸고, 약속을 지키려 불어난 냇물을 건너던 처녀가 급류에 떠내려가자 총각은 두꺼비 모양 바위가 됐다는 전설이다. 그런데 그 두껍바위가 사라졌다가 30년 만에 나타났다는 이야기였다. 경지정리를 하면서 간 데를 알 수 없던 두껍바위를 도로 확장공사 과정에서 다시 찾았다는 것이다.
전설은 면지(面誌)에도 담겼다고 한다. 마을에는 소중한 문화유산일 것이다. 이 이야기를 주요 기사로 썼다. 인간의 일이 아닌 것 같은 흉포한 뉴스만 넘치는 요즈음이다. 소박하지만 미소를 머금게 하는 기사들을 더 볼 수 있다면 신문값을 내도 될 것 같다.
dcsuh@seoul.co.kr
2017-11-2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