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다섯 발가락 가운데 유독 엄지발가락이 클까? 이는 인류의 직립 보행과 관련돼 있다. 이동할 때 한쪽 다리에 가해진 체중은 보통 마지막에 엄지발가락에 실린 뒤 다른 쪽 다리로 옮겨진다. 체중을 온전히 견디려면 엄지발가락이 크고 튼튼해질 수밖에 없다.
인간의 신체 모든 부분이 이런 진화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 어느 신체 기관도 허술하게 만들어지지 않았다. 여성의 골반이 남성보다 크고 발달한 것도 출산과 관련된 것처럼 모든 신체 기관이 그 자리에 그 모습으로 있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
최근 걷다가 넘어지는 작은 사고를 당했다. 본능적으로 아스팔트 길 옆 작은 풀숲으로 몸을 틀어 크게 다치지는 않았다. 얼굴에는 코와 인중에만 상처가 났다. 입안을 보니 이빨 틈으로 까만 흙이 촘촘히 박혀 있었다. 여차하면 이가 부러질 뻔한 ‘참사’를 면한 것이다.
넘어질 때 얼굴 중 가장 높은 코부터 땅에 닿다 보니 이마나 다른 부위에 충격이 덜 가해졌고, 불쑥 튀어나온 인중과 윗입술이 치아를 보호한 것 아닌가 싶다. 우리 몸이 참으로 오묘하게 만들어졌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 하루다.
인간의 신체 모든 부분이 이런 진화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다. 어느 신체 기관도 허술하게 만들어지지 않았다. 여성의 골반이 남성보다 크고 발달한 것도 출산과 관련된 것처럼 모든 신체 기관이 그 자리에 그 모습으로 있는 것은 다 이유가 있다.
최근 걷다가 넘어지는 작은 사고를 당했다. 본능적으로 아스팔트 길 옆 작은 풀숲으로 몸을 틀어 크게 다치지는 않았다. 얼굴에는 코와 인중에만 상처가 났다. 입안을 보니 이빨 틈으로 까만 흙이 촘촘히 박혀 있었다. 여차하면 이가 부러질 뻔한 ‘참사’를 면한 것이다.
넘어질 때 얼굴 중 가장 높은 코부터 땅에 닿다 보니 이마나 다른 부위에 충격이 덜 가해졌고, 불쑥 튀어나온 인중과 윗입술이 치아를 보호한 것 아닌가 싶다. 우리 몸이 참으로 오묘하게 만들어졌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낀 하루다.
2017-06-21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