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던 조카가 두 살 어린 동생에게 속삭이던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외할머니 제삿날은 우리 잔칫날이야.” 조카 눈에는 제사상이 상다리가 부러질 정도로 차려 놓은 잔칫상과 다를 바가 없었다. 게다가 어른들이 용돈까지 쥐여 주니 어느 잔칫날이 부러울까.
나 역시 어릴 적 친가는 물론 외가의 제사까지 두루 참석했던 이유 중 하나는 맛있는 제사 음식을 먹기 위해서였다. 특히 외가의 제사상에는 평소 못 먹던 부드러운 주홍빛 속살의 송어찜이 올랐다. 한데 제사를 자정을 넘어 올리다 보니 기다리다 못해 자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도 외할머니가 제사가 끝났다고 깨우시면 송어를 먹으려고 번쩍 눈을 뜨곤 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 제사를 저녁에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자정에 제사를 지내는 집들도 있다. 3년 전 퇴계의 종가에서 ‘불천위 제사’를 저녁으로 바꿨는데 최근 경북 안동 의성 김씨 청계 종택에서도 저녁 제사로 변경했다고 한다. 불천위는 나라에 공을 세우거나 학문이 높아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는 이들의 신위를 말한다. 전통을 지키는 종갓집도 현실에 발맞추는 시대다.
나 역시 어릴 적 친가는 물론 외가의 제사까지 두루 참석했던 이유 중 하나는 맛있는 제사 음식을 먹기 위해서였다. 특히 외가의 제사상에는 평소 못 먹던 부드러운 주홍빛 속살의 송어찜이 올랐다. 한데 제사를 자정을 넘어 올리다 보니 기다리다 못해 자는 경우가 많았다. 그래도 외할머니가 제사가 끝났다고 깨우시면 송어를 먹으려고 번쩍 눈을 뜨곤 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 제사를 저녁에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여전히 자정에 제사를 지내는 집들도 있다. 3년 전 퇴계의 종가에서 ‘불천위 제사’를 저녁으로 바꿨는데 최근 경북 안동 의성 김씨 청계 종택에서도 저녁 제사로 변경했다고 한다. 불천위는 나라에 공을 세우거나 학문이 높아 사당에서 제사를 지내는 이들의 신위를 말한다. 전통을 지키는 종갓집도 현실에 발맞추는 시대다.
2017-05-20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