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랫동안 지녔던 물건을 잃어버리고 나면 속상하다. 지난해 15년 동안 사용하던 화장용 솔을 잃어버렸는데 지금 생각해도 아쉽다. 이상한 일은 잃어버린 그것과 똑같은 상표의 솔을 다시 손에 쥐었는데도 상실감이 채워지지 않는다. 오히려 새 솔을 볼 때마다 예전의 그 솔이 생각난다. 외국 여행길에 선배와 같이 그것을 사던 추억도 아련하게 떠오른다.
행동 연구를 하는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은 ‘획득에 의한 행복’보다 ‘상실에 의한 고통’을 더욱 크게 느낀다고 한다. 만약 평생 모은 저축을 두 배로 불릴 확률이 85%이고 반대로 전 재산을 날릴 확률이 15%인 내기를 하라고 하면 웬만히 간이 크지 않고서는 응할 이가 별로 없는 이유다. 이는 프린스턴대 심리학 교수인 대니얼 카너먼의 실험을 통해서도 밝혀졌다. 사람들은 새롭게 무엇인가를 얻게 되는 행복보다는 자신이 소유하던 것에 대한 상실을 더욱 아프게 느낀다고 했다.
요즘 온 국민이 ‘순실증’을 앓고 있다. 도둑맞은 민주주의, 법치주의…. 군사독재 시절을 거치면서 어렵게 쌓아 온 소중한 가치이기에 국민의 가슴속 생채기는 쉬 아물지 못하고 있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행동 연구를 하는 학자들의 주장에 따르면 인간은 ‘획득에 의한 행복’보다 ‘상실에 의한 고통’을 더욱 크게 느낀다고 한다. 만약 평생 모은 저축을 두 배로 불릴 확률이 85%이고 반대로 전 재산을 날릴 확률이 15%인 내기를 하라고 하면 웬만히 간이 크지 않고서는 응할 이가 별로 없는 이유다. 이는 프린스턴대 심리학 교수인 대니얼 카너먼의 실험을 통해서도 밝혀졌다. 사람들은 새롭게 무엇인가를 얻게 되는 행복보다는 자신이 소유하던 것에 대한 상실을 더욱 아프게 느낀다고 했다.
요즘 온 국민이 ‘순실증’을 앓고 있다. 도둑맞은 민주주의, 법치주의…. 군사독재 시절을 거치면서 어렵게 쌓아 온 소중한 가치이기에 국민의 가슴속 생채기는 쉬 아물지 못하고 있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7-01-13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