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친구에게 들은 슬픈 사연이다. 원하는 대학에 가지 못한 지인의 아들이 우울증에 빠져 극단적 선택을 했다고 한다. ‘공부하라’고 질책했던 그 부모 역시 죄책감에 삶의 희망이 꺾였다고 한다. 5년 전인가, 한 중학생이 부산의 고층 아파트에서 뛰어내려 꽃 같은 삶을 마감한 사건이 오버랩됐다. “성적 때문에 비인간적 대우를 받는 이 세상을 떠난다”는 그 학생의 절규에 가슴이 미어졌던 기억이 새롭다.
성적 지상주의가 판치는 공간에서 극소수를 제외하곤 아마도 대부분 상처를 받기 마련이다. 어렵사리 대학에 들어가도 암울한 미래에 절망하고 좌절의 고통 속에서 신음한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하고 일해도 도무지 희망의 출구가 없다. 뭔가 근본적으로 잘못된 사회다.
우리 기성세대는 ‘아픈 것이 청춘’이라고 청년을 위로한다. ‘그래도 인생은 살 만한 것’이라고 설득해도 그들이 직면한 현실은 너무도 암담하다. 희망의 끈을 놓지 말라는 단순한 위로 대신, 좌절에서 벗어날 ‘희망의 사다리’를 내려주는 것이 순서다. 희망의 끈과 사다리를 구체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 이것이 못난 기성세대가 해야 할 일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성적 지상주의가 판치는 공간에서 극소수를 제외하곤 아마도 대부분 상처를 받기 마련이다. 어렵사리 대학에 들어가도 암울한 미래에 절망하고 좌절의 고통 속에서 신음한다. 아무리 열심히 공부하고 일해도 도무지 희망의 출구가 없다. 뭔가 근본적으로 잘못된 사회다.
우리 기성세대는 ‘아픈 것이 청춘’이라고 청년을 위로한다. ‘그래도 인생은 살 만한 것’이라고 설득해도 그들이 직면한 현실은 너무도 암담하다. 희망의 끈을 놓지 말라는 단순한 위로 대신, 좌절에서 벗어날 ‘희망의 사다리’를 내려주는 것이 순서다. 희망의 끈과 사다리를 구체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 이것이 못난 기성세대가 해야 할 일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오일만 논설위원 oilman@seoul.co.kr
2016-12-2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