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할 때다. 아파트 엘리베이터에 탔는데 한두 번 본 듯한 30대 여성이 “안녕하셨어요?” 하고 인사를 건넨다. 순간 당황해 “아, 네~” 하고 인사를 받는 둥 마는 둥 하고 말았다. 한데 여성의 아들인 듯한 네댓 살배기 아이까지 “안녕하세요” 하고 고개를 꾸벅 숙이는 게 아닌가. 그제야 제대로 답례를 했다. “참 씩씩하네. 인사도 잘하고.”
집 엘리베이터를 타면 어색할 때가 많다. 누군가 함께 있을 때 그렇다. 분명히 우리 집 라인의 주민인 듯한데 먼저 아는 척하기가 쉽지 않다.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전화나 게시물에 시선을 두고 있다. 그러다 문이 열리면 쌩하고 제 갈 길을 간다. 마치 긴 시간을 견디기 어려웠다는 듯이.
아파트살이 25년째지만, 이런 풍경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그 모자(母子)와의 조우 같은 흐뭇한 정경은 행운으로 여겨질 정도로 드물다. 이웃사촌이라는데, 십수년 한 건물에 살면서도 그렇게 데면데면할 수가 없다. 그러니 윗집 아이가 뛰어논다고 올라가 주먹다짐하는 사람까지 생기는 게 아닐까. 엘리베이터에서 인사만 반갑게 나눠도 층간소음 다툼이 크게 줄 것 같다. 오늘 먼저 인사하는 용기를 내 볼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집 엘리베이터를 타면 어색할 때가 많다. 누군가 함께 있을 때 그렇다. 분명히 우리 집 라인의 주민인 듯한데 먼저 아는 척하기가 쉽지 않다. 나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사람이 휴대전화나 게시물에 시선을 두고 있다. 그러다 문이 열리면 쌩하고 제 갈 길을 간다. 마치 긴 시간을 견디기 어려웠다는 듯이.
아파트살이 25년째지만, 이런 풍경은 달라지지 않은 것 같다. 그 모자(母子)와의 조우 같은 흐뭇한 정경은 행운으로 여겨질 정도로 드물다. 이웃사촌이라는데, 십수년 한 건물에 살면서도 그렇게 데면데면할 수가 없다. 그러니 윗집 아이가 뛰어논다고 올라가 주먹다짐하는 사람까지 생기는 게 아닐까. 엘리베이터에서 인사만 반갑게 나눠도 층간소음 다툼이 크게 줄 것 같다. 오늘 먼저 인사하는 용기를 내 볼까.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12-0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