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배 한 분이 책을 한 권 보내왔다. 팔순을 넘긴 연배에 책까지 쓴 열정은 높이 살 만했지만, ‘거리(距離)는 미(美)’라는 제목이 좀 생뚱맞아 보였다.
책 속에서 저자의 학창 시절 에피소드를 보고 제목을 단 의도는 이해됐다. 파라솔을 쓴 여학생의 멋진 뒷모습에 반해 종종걸음으로 쫓아갔지만 앞모습을 보고 적이 실망했다는 추억담을 읽으면서다. 하긴 ‘50m 미인’이란 흔한 속어도 있다. 멀리서 보면 미인인데 가까이서 보면 아니라는….
다만, 그가 진짜 하고 싶었던 본론은 따로 있었다. “경제나 금융 문제도 거리를 좀 두고 볼 수 있게 되니 제대로 보인다”는 대목에서 진의가 감지됐다. 반평생 가까이 경제·금융 분야에 종사하며 시중은행장과 중소기업청장 등을 역임했던 그다. 그래서 경제의 발목을 잡는 규제 개혁만은 공무원들에게 맡겨서는 안 된다는 그의 쓴소리가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그의 주장의 요체는 규제를 특권처럼 여기는 공직 사회와 거리를 두고 보니 비로소 객관적 현실이 보인다는 뜻으로 새겨졌다. 경제 활성화를 가로막는 온갖 추한 규제의 실상을 산업현장에선 다 아는데 정작 50m 밖 관료들은 모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책 속에서 저자의 학창 시절 에피소드를 보고 제목을 단 의도는 이해됐다. 파라솔을 쓴 여학생의 멋진 뒷모습에 반해 종종걸음으로 쫓아갔지만 앞모습을 보고 적이 실망했다는 추억담을 읽으면서다. 하긴 ‘50m 미인’이란 흔한 속어도 있다. 멀리서 보면 미인인데 가까이서 보면 아니라는….
다만, 그가 진짜 하고 싶었던 본론은 따로 있었다. “경제나 금융 문제도 거리를 좀 두고 볼 수 있게 되니 제대로 보인다”는 대목에서 진의가 감지됐다. 반평생 가까이 경제·금융 분야에 종사하며 시중은행장과 중소기업청장 등을 역임했던 그다. 그래서 경제의 발목을 잡는 규제 개혁만은 공무원들에게 맡겨서는 안 된다는 그의 쓴소리가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그의 주장의 요체는 규제를 특권처럼 여기는 공직 사회와 거리를 두고 보니 비로소 객관적 현실이 보인다는 뜻으로 새겨졌다. 경제 활성화를 가로막는 온갖 추한 규제의 실상을 산업현장에선 다 아는데 정작 50m 밖 관료들은 모를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6-04-19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