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길 시인은 세상이 아무리 각박하더라도 설날만큼은 따스하게 맞이하라고 했다. 즉 “따듯한 한잔 술과/한 그릇 국을 앞에 하였거든/그것만으로도 푸지고/고마운 것이라 생각하라”고. 그런데도 그다지 맘이 설레지 않은 까닭이 뭘까? 제수 장만과 같은 생활인으로서 걱정만 앞서고 있으니….
처음엔 나이가 든 증좌이려니 했다. 하지만 귀성 인파로 북적이는 서울역과 버스 터미널 풍경을 보면서 그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몇 년 전부터 동생들이 어머니를 모시고 역귀성하면서 서울의 난 고향 냄새를 맡을 기회를 잃어버린 셈이다. 수년 전 돌아가신 아버지는 설날 전날이면 늘 대문 밖에서 우리 가족을 기다리셨다. 아무리 추운 날이라도 열차 도착 시각을 가늠해 골목 어귀에서 서성이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시작된 귀성 전쟁을 보면서 기억의 창고 속에서 다시 끄집어낸 삽화다.
그러나 귀성을 어찌 물리적 좌표로만 한정 지으랴. 부모, 형제가 만나 혈육의 정을 나누는 그곳이 바로 고향일 거라는 객쩍은 위안을 해 봤다. 문득 “아가, 애비 말 잊지 마라/가서 배불리 먹고사는 곳/그곳이 고향이란다”(서정춘 시인)라는 시구가 떠오른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처음엔 나이가 든 증좌이려니 했다. 하지만 귀성 인파로 북적이는 서울역과 버스 터미널 풍경을 보면서 그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다. 몇 년 전부터 동생들이 어머니를 모시고 역귀성하면서 서울의 난 고향 냄새를 맡을 기회를 잃어버린 셈이다. 수년 전 돌아가신 아버지는 설날 전날이면 늘 대문 밖에서 우리 가족을 기다리셨다. 아무리 추운 날이라도 열차 도착 시각을 가늠해 골목 어귀에서 서성이면서. 올해도 어김없이 시작된 귀성 전쟁을 보면서 기억의 창고 속에서 다시 끄집어낸 삽화다.
그러나 귀성을 어찌 물리적 좌표로만 한정 지으랴. 부모, 형제가 만나 혈육의 정을 나누는 그곳이 바로 고향일 거라는 객쩍은 위안을 해 봤다. 문득 “아가, 애비 말 잊지 마라/가서 배불리 먹고사는 곳/그곳이 고향이란다”(서정춘 시인)라는 시구가 떠오른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6-02-06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