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근하니 현관문 앞에 과일 박스가 하나 놓여 있다. 발신인이 고향 친구다. 설이라고 보낸 모양이다. ‘고맙긴 한데, 왜 보냈지? 나도 보내야 하나?’ 예전 같으면 별 생각 없이 받았을 것을, 언젠가부터 선물을 받으면 이런 의문이 생긴다. 선물을 보낼 때도 마찬가지다. ‘이 정도면 괜찮을까? 난 뭘 받았지?’ 같은 금전적인 가치를 떠올리게 된다.
선물이라는 게 조건 없이, 주고 싶어 주는 것이어야 하는데 현실에선 그렇지 않을 때가 많다. 누군가 조카의 졸업 선물로 20만원짜리를 사 줬다 치자. 그런데 자기 아이는 5만원짜리를 받으면 서운함이 생기기 마련이다. 반면 자기는 5만원짜리를 사 줬는데 아이가 20만원짜리를 받으면? 뭔가 빚졌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해체주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선물에 대한 인간의 이런 허위의식을 파헤쳤다. 그는 선물을 줬다는 사실 자체를 망각해야만 비로소 선물이 된다고 했다. 그러지 않으면 대가를 바라는 뇌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최소한 준 사실을 잊으려는 의지라도 가져야 선물로서 가치가 있다고 했다. 그럼 내가 그동안 주고받은 것 중 선물이 얼마나 될까. 있기는 한 걸까? 그래도 친구의 과일 박스는 선물로 믿고 싶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선물이라는 게 조건 없이, 주고 싶어 주는 것이어야 하는데 현실에선 그렇지 않을 때가 많다. 누군가 조카의 졸업 선물로 20만원짜리를 사 줬다 치자. 그런데 자기 아이는 5만원짜리를 받으면 서운함이 생기기 마련이다. 반면 자기는 5만원짜리를 사 줬는데 아이가 20만원짜리를 받으면? 뭔가 빚졌다는 생각이 들 것이다. 해체주의 철학자 자크 데리다는 선물에 대한 인간의 이런 허위의식을 파헤쳤다. 그는 선물을 줬다는 사실 자체를 망각해야만 비로소 선물이 된다고 했다. 그러지 않으면 대가를 바라는 뇌물일 뿐이라는 것이다. 최소한 준 사실을 잊으려는 의지라도 가져야 선물로서 가치가 있다고 했다. 그럼 내가 그동안 주고받은 것 중 선물이 얼마나 될까. 있기는 한 걸까? 그래도 친구의 과일 박스는 선물로 믿고 싶다.
임창용 논설위원 sdragon@seoul.co.kr
2016-02-0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