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 그랬듯이 아침에 스마트폰 달력의 일정을 챙긴다. 죽 보다가 눈길이 머문다. ‘추석연휴’라는 메모다. 한참 전에 적어 놓았을 텐데. 문득 짓궂은 생각이 든다. 친구들한테 ‘카카오톡’으로 추석 일정을 물어본다. 예상했던 대로다. 답이 없다. 하지 않던 짓에 놀랐을까, 아니면 너나 알아서 하라는 뜻일까.
생각에 잠긴다. 추석이나 설날 때 고향에 내려가 부모님께 절을 드리지 못한 적이 더러 있다. 양가 부모님 가운데 각각 한 분이 돌아가신 뒤부터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런저런 핑계로 내려가지 못한 자책감에 사로잡힌다. 용돈을 보내 드리고 수시로 안부 전화를 하는 걸로 면죄부를 받아 왔다. 혈육들이 옆을 지키고 있다는 안도감 때문에 소홀했다면 변명이라도 될까.
찜찜하다. 자식 된 도리가 아닌 것 같다. 기억의 테이프를 몇십 년 전으로 돌린다. 참 재미있고 정이 넘쳤다. 고단한 먼 거리를 달려 찾아간 고향집 가족들이 늘 반갑고 고마웠다. 늦은 밤까지 자식을 기다리던 부모와 혈육들이 눈에 아른거린다. 명절에 대한 그리움이 밀려온다. 핑계를 대지 말자. 그래도 만날 수 있을 때 자주 만나야지. 마음은 벌써 옛날 고향집에 가 있는 것 같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생각에 잠긴다. 추석이나 설날 때 고향에 내려가 부모님께 절을 드리지 못한 적이 더러 있다. 양가 부모님 가운데 각각 한 분이 돌아가신 뒤부터였던 것으로 기억된다. 이런저런 핑계로 내려가지 못한 자책감에 사로잡힌다. 용돈을 보내 드리고 수시로 안부 전화를 하는 걸로 면죄부를 받아 왔다. 혈육들이 옆을 지키고 있다는 안도감 때문에 소홀했다면 변명이라도 될까.
찜찜하다. 자식 된 도리가 아닌 것 같다. 기억의 테이프를 몇십 년 전으로 돌린다. 참 재미있고 정이 넘쳤다. 고단한 먼 거리를 달려 찾아간 고향집 가족들이 늘 반갑고 고마웠다. 늦은 밤까지 자식을 기다리던 부모와 혈육들이 눈에 아른거린다. 명절에 대한 그리움이 밀려온다. 핑계를 대지 말자. 그래도 만날 수 있을 때 자주 만나야지. 마음은 벌써 옛날 고향집에 가 있는 것 같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5-09-04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