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엌 형광등 갓 너머로 몇 놈이 숨바꼭질을 한다. 선홍색 등딱지가 선명한 무당벌레다. 백과사전에 따르면 산야의 진딧물이 있는 자리에 살고 있어야 마땅하다. 이주 내력을 알 수가 없다. 녀석들의 판단을 교란시킨 건 누굴까. 뒷베란다의 열린 창으로 밤 깊어 쏟아져 들어오는 소리. 밤마다 데시벨을 높여 가는 개구리떼다. 내가 모르는 어디에 저들이 깃들일 여지가 있었는지 미궁 속이다. 개구리 소리에 낚인 무당벌레들이 덩달아 번지수를 잘못 짚었을까.
공원 산책길에는 불의의 즐거움이 있다. 소나무밭 모롱이쯤에서 기다렸다 한바탕 울어젖히는 건 산비둘기다. 질 수 없다고 목청을 들이대는 건 뻐꾸기. 도심 공원에 물색없이 등장한 녀석들 덕에 산책의 묘미는 그만이다.
무논 아닌데 개구리, 산 속 아닌데 산비둘기, 숲 길 아닌데 뻐꾸기가 용케 자리를 비집었다. 환경지표 생물이라는 개구리는 대체 무엇이 아쉬워 아파트 양회 바닥에 눌러 앉기로 했는지 날마다 궁금하다. 산책 길에서는 여름이 끝나도록 뻐꾸기의 저 ‘반골’ 기질이 궁금하지 싶다. 사람이 그리웠을 리 만무하고. 달리 도리 없었던 순응일까, 어떤 모반(謀反)일까.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공원 산책길에는 불의의 즐거움이 있다. 소나무밭 모롱이쯤에서 기다렸다 한바탕 울어젖히는 건 산비둘기다. 질 수 없다고 목청을 들이대는 건 뻐꾸기. 도심 공원에 물색없이 등장한 녀석들 덕에 산책의 묘미는 그만이다.
무논 아닌데 개구리, 산 속 아닌데 산비둘기, 숲 길 아닌데 뻐꾸기가 용케 자리를 비집었다. 환경지표 생물이라는 개구리는 대체 무엇이 아쉬워 아파트 양회 바닥에 눌러 앉기로 했는지 날마다 궁금하다. 산책 길에서는 여름이 끝나도록 뻐꾸기의 저 ‘반골’ 기질이 궁금하지 싶다. 사람이 그리웠을 리 만무하고. 달리 도리 없었던 순응일까, 어떤 모반(謀反)일까.
황수정 논설위원 sjh@seoul.co.kr
2015-06-16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