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신종플루가 한창 유행할 때다. 고열, 기침에 식은땀도 흘렸다. 신종플루 증상을 찾아보니 ‘딱’이다 싶을 정도로 일치했다. 더구나 당시 신종플루의 진원지로 알려진 멕시코에 다녀온 직후라 내심 “먼 타국에서 외롭게 죽는구나” 하는 마음마저 들었다.
미국 연수 시절이라 말이 잘 통하는 한국인 의사가 있는 병원부터 전화 예약했다. 그런데 몇 분 뒤 간호사가 진료가 어렵다고 했다. 멕시코를 다녀왔다고 하니 아무래도 진료를 거부한 듯했다. 그러고 나니 진짜 신종플루 환자로 확진된 양 공포감이 밀려왔다. 그 후 혹여나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것을 우려해 마스크를 썼다. 방 한 칸 좁은 아파트에서도 따로 식기류를 사용하고 식사하는 등 나름 격리를 자청했다.
나중에 큰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은 결과 신종플루와는 무관하다고 했다. 병명도 없이 갱년기 증상일 수 있다는 의사의 막연한 추정만 들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마음의 병’이지 싶다. 병에 대한 걱정이 죽음에 대한 공포감으로 증폭되면서 스스로 ‘환자입네’ 했던 것 같다. 요즘 메르스 걱정이 많은데 대비는 해야지만 이럴수록 평정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미국 연수 시절이라 말이 잘 통하는 한국인 의사가 있는 병원부터 전화 예약했다. 그런데 몇 분 뒤 간호사가 진료가 어렵다고 했다. 멕시코를 다녀왔다고 하니 아무래도 진료를 거부한 듯했다. 그러고 나니 진짜 신종플루 환자로 확진된 양 공포감이 밀려왔다. 그 후 혹여나 다른 사람에게 전염시킬 것을 우려해 마스크를 썼다. 방 한 칸 좁은 아파트에서도 따로 식기류를 사용하고 식사하는 등 나름 격리를 자청했다.
나중에 큰 병원에 가서 검진을 받은 결과 신종플루와는 무관하다고 했다. 병명도 없이 갱년기 증상일 수 있다는 의사의 막연한 추정만 들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마음의 병’이지 싶다. 병에 대한 걱정이 죽음에 대한 공포감으로 증폭되면서 스스로 ‘환자입네’ 했던 것 같다. 요즘 메르스 걱정이 많은데 대비는 해야지만 이럴수록 평정심을 잃지 말아야 한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6-0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