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웬만한 집의 부엌 찬장에는 인공 조미료 한 봉지씩은 다 있었다. 국이나 찌개, 조림 등에 조미료를 솔솔 뿌리지 않는다는 것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다. 앞치마를 입고 머리에 수건까지 두른 한 여배우의 조미료 광고는 지금도 생각날 정도로 조미료는 그 시절 최고의 인기상품이었다.
하지만 어머니는 화학조미료를 멀리 했다. 멸치 육수 등으로 대신 맛을 냈다. 그 덕분에 우리 집은 친환경이라는 말도 없던 때에 누구보다 일찍이 친환경 식탁을 마주했다. 그래서 조미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잘 못 먹는다. 먹고 나면 탈이 난다. 특히 어느 날 동네 중국집에서 짜장면 소스를 만들면서 화학조미료를 커다란 국자로 푹 퍼서 넣는 것을 본 이후 더욱 그렇다.
최근 동네에 반찬가게가 하나 더 생겼다. 조미료를 전혀 쓰지 않을뿐더러 설탕 대신 과일 발효 효소를 쓴다고 주인이 홍보하기에 몇 가지 반찬을 먹어봤다. 진짜 뒷맛이 깔끔했다. 그렇지 않아도 아파트 단지 내 반찬가게 아주머니는 음식 솜씨는 좋으나 조미료 맛이 나는 것 같아 다소 찜찜하던 차에 반가웠다. 역시 경쟁이 필요하다. 같은 값이면 건강식을 택하게 마련 아닌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하지만 어머니는 화학조미료를 멀리 했다. 멸치 육수 등으로 대신 맛을 냈다. 그 덕분에 우리 집은 친환경이라는 말도 없던 때에 누구보다 일찍이 친환경 식탁을 마주했다. 그래서 조미료가 많이 들어간 음식은 잘 못 먹는다. 먹고 나면 탈이 난다. 특히 어느 날 동네 중국집에서 짜장면 소스를 만들면서 화학조미료를 커다란 국자로 푹 퍼서 넣는 것을 본 이후 더욱 그렇다.
최근 동네에 반찬가게가 하나 더 생겼다. 조미료를 전혀 쓰지 않을뿐더러 설탕 대신 과일 발효 효소를 쓴다고 주인이 홍보하기에 몇 가지 반찬을 먹어봤다. 진짜 뒷맛이 깔끔했다. 그렇지 않아도 아파트 단지 내 반찬가게 아주머니는 음식 솜씨는 좋으나 조미료 맛이 나는 것 같아 다소 찜찜하던 차에 반가웠다. 역시 경쟁이 필요하다. 같은 값이면 건강식을 택하게 마련 아닌가.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5-04-02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