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어 낚시를 자주 다니던 시절 지렁이 미끼를 끼우면 다짜고짜 덤벼드는 게 꾸구리였다. 색깔은 거무튀튀하고 무늬는 얼룩덜룩하니 그리 아름답지 않은 민물고기다. 손가락 크기를 넘지 않을 만큼 작은 것이 바늘을 배 속 깊숙이 삼켜 대니 결코 반가울 수 없다.
하지만 낚시터가 아니라 매운탕 집이라면 잡고기가 좋았다. 양식이 대중화됐다지만 별볼일없는 작은 고기라면 여전히 자연산을 쓰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는 것이다. 예전엔 잡고기가 메기나 동자개 매운탕보다 쌌지만 요즘엔 그렇지 않은 것도 구하기가 쉽지 않아졌기 때문이겠지 하고 짐작했다.
언젠가 냄비 안에 담겨 있는 꾸구리를 보고 ‘이렇게 작은 것도 넣었나’ 하면서도 반가웠다. 실제로 예전에는 매운탕에서 피라미는 물론 눈치, 모래무지, 돌고기를 발견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그런데 몇 년 전 꾸구리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다는 소식에 놀랐다.
지난주 오랜만의 잡고기 매운탕에는 피라미뿐이었다. 크기도 한결같았으니 피라미도 이제 양식을 해야 하는구나 싶었다. 맛이 신통치 않은 것은 당연하다. ‘잡’(雜) 자가 ‘더 좋은’이라는 이미지를 가진 드문 사례였는데….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하지만 낚시터가 아니라 매운탕 집이라면 잡고기가 좋았다. 양식이 대중화됐다지만 별볼일없는 작은 고기라면 여전히 자연산을 쓰지 않을까 하는 기대를 갖는 것이다. 예전엔 잡고기가 메기나 동자개 매운탕보다 쌌지만 요즘엔 그렇지 않은 것도 구하기가 쉽지 않아졌기 때문이겠지 하고 짐작했다.
언젠가 냄비 안에 담겨 있는 꾸구리를 보고 ‘이렇게 작은 것도 넣었나’ 하면서도 반가웠다. 실제로 예전에는 매운탕에서 피라미는 물론 눈치, 모래무지, 돌고기를 발견하는 것이 어렵지 않았다. 그런데 몇 년 전 꾸구리가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됐다는 소식에 놀랐다.
지난주 오랜만의 잡고기 매운탕에는 피라미뿐이었다. 크기도 한결같았으니 피라미도 이제 양식을 해야 하는구나 싶었다. 맛이 신통치 않은 것은 당연하다. ‘잡’(雜) 자가 ‘더 좋은’이라는 이미지를 가진 드문 사례였는데….
서동철 논설위원 dcsuh@seoul.co.kr
2015-03-30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