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가입하라”는 보험광고나 “무조건 외워라”라는 자동차정비 광고는 이성의 합리적인 판단을 무력화하는 것 같아 좋아하지 않는다. 얼마 전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외워야 행복한 삶이 보장된다는 사람을 만났다. 결혼 17년차로 웃음이 넉넉한 K증권사 지점장은 “배우자의 행동 패턴은 그냥 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결혼해서 1~2년 만에 고쳐지지 않는 배우자의 습관은 평생 잔소리를 해도 바뀌지 않으니 서로 행복하려면 상대의 행동 패턴을 외워서 대응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도 했다. “고쳐서 새사람 만들겠다는 생각을 포기하라”고 강조했다. 다들 “맞다!”며 박장대소했다. 서로 다른 가풍에서 20~30년씩 살아온 성인의 행동이나 습관이 어떻게 쉽게 바뀌느냐는 말이다. 동료의 특성에 맞춰 대응을 조정하는 직장 생활에서도 마찬가지다.
미국 영화 중 치약의 중간을 눌러 쓰는 남편을 고치려다 이혼한 여자가 전 남편의 새 아내에게 어떻게 견디고 있느냐고 묻는다. 새 부인은 “치약을 두 개 쓰고 남편의 치약에 신경 쓰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공존하기 위해 외우고 피해 가는 지혜도 필요한가.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미국 영화 중 치약의 중간을 눌러 쓰는 남편을 고치려다 이혼한 여자가 전 남편의 새 아내에게 어떻게 견디고 있느냐고 묻는다. 새 부인은 “치약을 두 개 쓰고 남편의 치약에 신경 쓰지 않는다”고 답변했다. 공존하기 위해 외우고 피해 가는 지혜도 필요한가.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4-12-25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