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기관장의 배려심에 탄복한 적이 있다. 약속 장소로 가는 중간에 도착 시간을 알렸더니 골목길 먼 곳까지 나와 기다리고 있었다. 자리엔 함께 온 손아래 동석자도 있었건만 서로 얼굴을 모를까봐 직접 나왔단다. 며칠 전 대선배와의 통화에서도 비슷하게 경험했다. 직접 상관으로 모셨고, 퇴직한 지 꽤 오래되셨다. 통화 내내 말을 높여 몸 둘 곳을 찾지 못한 건 당연했다. 배려는 이처럼 자신의 낮춤이다. 내가 아닌 남, 상대방 중심의 생각에서 나온다. 당연히 감동이 따른다.
산다는 건 배움의 길이다. 공자의 ‘학이시습’(學而時習)으로 비유된다. 단순한 지식뿐 아니라 지혜를 동반하고, 이는 삶의 켜로 차곡차곡 쌓인다. 그래서 공자는 배우고 익혀 가면 즐거움이 뒤따른다고 했다. ‘열호’(悅乎), 즉 기쁨이다. 잘 먹고 배설 잘하는 것에 못지않다. 공자는 벗의 중요함도 논했다. ‘有朋自遠方來’(유붕자원방래).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온다는 뜻이다. 배려는 서로 간에 신뢰를 주고 도타운 기운을 듬뿍 준다. 옛 군자의 덕목만은 아니다. 배려는커녕 잔망스러운 이해타산이 크게 자리한 요즘이 아닌가 한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산다는 건 배움의 길이다. 공자의 ‘학이시습’(學而時習)으로 비유된다. 단순한 지식뿐 아니라 지혜를 동반하고, 이는 삶의 켜로 차곡차곡 쌓인다. 그래서 공자는 배우고 익혀 가면 즐거움이 뒤따른다고 했다. ‘열호’(悅乎), 즉 기쁨이다. 잘 먹고 배설 잘하는 것에 못지않다. 공자는 벗의 중요함도 논했다. ‘有朋自遠方來’(유붕자원방래). 벗이 있어 먼 곳에서 온다는 뜻이다. 배려는 서로 간에 신뢰를 주고 도타운 기운을 듬뿍 준다. 옛 군자의 덕목만은 아니다. 배려는커녕 잔망스러운 이해타산이 크게 자리한 요즘이 아닌가 한다.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4-10-27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