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을 읽다가 색다른 통계에 눈길이 갔다. 서울 시민은 하루 평균 39분을 걷는 데 비해 도쿄나 베를린 시민은 각각 50분과 52분씩 걷는단다. 그래서 일주일에 사흘은 차를 모는 스스로를 돌아봤다. 석유 한 방울 안 나는 나라에서 공기만 더럽히고 있다는 자책(?)과 함께.
물론 우리네 수도 서울은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는 아니다. 자동차 위주로 도시계획이 짜여져 편안하게 걷기란 쉽진 않다. 육교와 지하보도를 힘겹게 오르내리느라 짜증이 날 때도 많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걷는 기쁨을 포기할 이유는 없을 성싶다. 작가 루쉰이 그랬던가. “본래 땅에는 길이 없었지만,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곧 길이 되는 것”이라고. 자동차 대신 보행을 선택하는 시민이 많아질수록 장차 보행로도 넓어지게 마련일 게다.
인생이 그렇듯 좋은 시절은 늘 짧아서 아쉽다. 일년 중 가장 청량하지만 순식간에 지나가버릴 이 가을을 만끽하기 위해서라도 더 많이 걸어야겠다. 낙엽 질 무렵이면 누구나 반쯤 철학자가 된다고 했다. 소슬한 가을 바람을 맞으며 상념에 젖다 보면 어느새 목적지일 듯싶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물론 우리네 수도 서울은 보행자 친화적인 도시는 아니다. 자동차 위주로 도시계획이 짜여져 편안하게 걷기란 쉽진 않다. 육교와 지하보도를 힘겹게 오르내리느라 짜증이 날 때도 많다. 하지만 그렇다 하더라도 걷는 기쁨을 포기할 이유는 없을 성싶다. 작가 루쉰이 그랬던가. “본래 땅에는 길이 없었지만, 걸어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곧 길이 되는 것”이라고. 자동차 대신 보행을 선택하는 시민이 많아질수록 장차 보행로도 넓어지게 마련일 게다.
인생이 그렇듯 좋은 시절은 늘 짧아서 아쉽다. 일년 중 가장 청량하지만 순식간에 지나가버릴 이 가을을 만끽하기 위해서라도 더 많이 걸어야겠다. 낙엽 질 무렵이면 누구나 반쯤 철학자가 된다고 했다. 소슬한 가을 바람을 맞으며 상념에 젖다 보면 어느새 목적지일 듯싶다.
구본영 논설고문 kby7@seoul.co.kr
2014-10-25 23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