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라 시인 두보는 곡강시(曲江詩)에서 인생 칠십은 예로부터 드물었다고 했다(人生七十古來稀). 우리나라의 평균 수명은 1960년대에는 남자 51세, 여자 54세였다. 1970년대에도 남자 58.6세, 여자 65.5세에 불과했으니 장수를 축하하는 잔치 가운데 환갑(還甲) 잔치의 비중이 가장 컸다. 국가통계 포털을 보면 1970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수명은 10년마다 4.6세가량씩 늘어났다. 2011년에는 남자 77.6세, 여자 84.4세다. 일흔 살이 되는 해에 베푸는 생일잔치인 고희연(古希宴)도 옛말이 된 장수시대다. 환갑잔치는 그만두고, 팔순잔치(산수연)를 해보면 어떨까 하는 어른들의 소망이 이뤄졌다고 할까.
지난주 어머니의 팔순을 맞아 가족들이 조촐한 식사를 대접한 뒤 모처럼 노래방을 찾았다. 어머니는 노래 서너 곡을 연달아 불러 가족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형이 지정한 노래가 나오자 “내가 부르려 했던 곡”이라고 해 폭소를 터뜨리기도 했다. 백세시대라 했던가. 산수연의 희소가치가 사라지고 88세의 미수연(米壽宴), 90세의 졸수연(卒壽宴), 99세의 백수연(白壽宴)이 일반화될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지난주 어머니의 팔순을 맞아 가족들이 조촐한 식사를 대접한 뒤 모처럼 노래방을 찾았다. 어머니는 노래 서너 곡을 연달아 불러 가족들을 깜짝 놀라게 했다. 형이 지정한 노래가 나오자 “내가 부르려 했던 곡”이라고 해 폭소를 터뜨리기도 했다. 백세시대라 했던가. 산수연의 희소가치가 사라지고 88세의 미수연(米壽宴), 90세의 졸수연(卒壽宴), 99세의 백수연(白壽宴)이 일반화될 날도 머지않은 듯하다.
오승호 논설위원 osh@seoul.co.kr
2014-10-15 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