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하면 단연 호박엿이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고급 한정식집에서 울릉도 특산이라며 ‘명이(茗荑) 나물’이 상에 오르기 시작했다. 춘궁기의 울릉도에서 목숨을 건지게 했다고 해 ‘산마늘’ 대신 명이라고 불렸다고 했다. 간장에 절인 이 나물에 고기를 싸 먹으면 맛있다고 해 철없이 ‘무한리필’해 먹다가 주인장에게 야단을 맞기도 했다.
울릉도 명물에 ‘부지깽이 나물’도 있다. 울릉도에만 자생한다는데 전혀 명물 같지 않은 이름이다. 부지깽이란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땔 때, 불을 헤집거나 끌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하는 데 쓰는 막대기이니 말이다. 찾아 보니 섬쑥부쟁이를 부르는 울릉도의 방언이란다. 가수 이장희가 이 나물을 좋아해 울릉도 주민이 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근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기념사업회’와 함께 독도를 방문한 길에 부지깽이 나물을 먹어봤다. 나물요리는 참기름 맛으로 먹는다고도 하지만 독특한 향취가 색다르다. 세상이 좋아져서 지역 특산물을 모두 인터넷에서 주문해 맛볼 수 있다. 핑계 삼아 인터넷 쇼핑이나 해야겠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울릉도 명물에 ‘부지깽이 나물’도 있다. 울릉도에만 자생한다는데 전혀 명물 같지 않은 이름이다. 부지깽이란 아궁이 따위에 불을 땔 때, 불을 헤집거나 끌어내거나 거두어 넣거나 하는 데 쓰는 막대기이니 말이다. 찾아 보니 섬쑥부쟁이를 부르는 울릉도의 방언이란다. 가수 이장희가 이 나물을 좋아해 울릉도 주민이 됐다는 이야기도 있다. 최근 ‘독도 최초 주민 최종덕기념사업회’와 함께 독도를 방문한 길에 부지깽이 나물을 먹어봤다. 나물요리는 참기름 맛으로 먹는다고도 하지만 독특한 향취가 색다르다. 세상이 좋아져서 지역 특산물을 모두 인터넷에서 주문해 맛볼 수 있다. 핑계 삼아 인터넷 쇼핑이나 해야겠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10-07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