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다’의 유사어는 ‘화내다’, ‘성내다’이다. 사전적 의미는 “앞뒤를 헤아림 없이 격한 마음이 불끈 일어나”는 것이지만, 좀 더 정확하게는 억눌러 왔던 부정적 감정들이 대폭발하는 것이다. 욱하는 사람들은 조직이나 직장에서 평소에는 눈에 잘 띄지 않거나 조용한 사람들이 많다. 주로 ‘예스맨’(yes man)들이다. 애덤 샌들러가 출연한 2003년 영화 ‘성질 죽이기’(Anger management)의 주인공처럼 말이다.
분노는 적절한 출구를 찾지 못하면 개인적으로 화병이 되거나, 사소한 것을 기폭제로 삼아 폭력을 행사하고 칼부림하는 등 사회적 불안요소가 된다. 층간소음이나 인터넷 댓글 갈등이 원인이 된 살인사건 등이 그 사례다. 그래서 평소에 분노 관리가 필요하다. 미국 등에서는 분노 폭발을 장애로 인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가 노력한다. 삼강오륜 같은 유교적인 가르침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분노 조절이 더 어렵다. 또 일부는 마음껏 화를 낸다. 모두 문제다. 화내는 나를 잘 들여다보고,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분노는 적절한 출구를 찾지 못하면 개인적으로 화병이 되거나, 사소한 것을 기폭제로 삼아 폭력을 행사하고 칼부림하는 등 사회적 불안요소가 된다. 층간소음이나 인터넷 댓글 갈등이 원인이 된 살인사건 등이 그 사례다. 그래서 평소에 분노 관리가 필요하다. 미국 등에서는 분노 폭발을 장애로 인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개인과 사회가 노력한다. 삼강오륜 같은 유교적인 가르침에 익숙한 한국인들은 분노 조절이 더 어렵다. 또 일부는 마음껏 화를 낸다. 모두 문제다. 화내는 나를 잘 들여다보고,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문소영 논설위원 symun@seoul.co.kr
2013-07-23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