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운칠복삼(運七福三)/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운칠복삼(運七福三)/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7-09 00:00
수정 2013-07-09 00:0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시골마을을 지나다 보면 더러 대문가에 서 있는 음나무를 보게 된다. 가시가 삐죽삐죽한 이 나무를 왜 굳이 이웃이 드나드는 대문 옆에 심었을까 싶지만, 그만한 이유가 있다. 음나무가 집안으로 들어오는 나쁜 기운과 잡귀를 막아준다는 믿음 때문이다. 옛날엔 가지를 잘라 대문에 걸어놓기도 했다. 삼재(三災)란 것도 있다. 사람에게 액운(厄運)이 들어와 3년간 머문다는 뜻인데, ‘삼재막이’라 하여 정초에 머리 셋 달린 매나 호랑이를 그려 문 위에 붙이고 매사 조심했다. 복을 기원하는 민간신앙이다.

우리 조상들은 복과 운을 사람의 힘을 초월한 천운(天運)에 달린 것으로 여겼다. 이 같은 기복신앙은 지금도 면면히 이어져 우리네 삶의 한 모퉁이를 채워가고 있다. 출근길에 기어이 ‘오늘의 운수’를 봐야 직성이 풀리고, 퇴근길에 산 복권이 ‘한낮의 꿈’이 아니길 바라며 지내는 식이다. 그제 미국에서 발생한 여객기 사고에서 기사회생한 탑승객들을 보며 운칠복삼(運七福三)이란 시중의 우스개 말을 떠올려 본다. 이들은 정녕 운과 복이 있는 것일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7-09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