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대밭을 가진 집은 부잣집이었다. 기와집 담 너머엔 커다란 대밭이 늘 자리했다. 이들 집에서 대나무를 파는 날이면 부러움에 트럭을 졸졸 따라다니곤 했다. 주인 몰래 대밭에서 캔 장대로 만든 낚싯대로 피라미를 잡으러 갔다가 들켜 혼이 났고, 활을 만들어 ‘전쟁놀이’를 한다고 동네 골목을 휘젓고 다닌 적도 있었다. 그 시절 부잣집 대밭에 난 죽순을 먹어 본다는 건 그야말로 언감생심이었다.
며칠 전 형님댁에서 보낸 죽순 때문에 작은 소동이 일었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죽순을 본 아내가 “껍질을 언제 다 벗기냐”며 나의 소중한 추억에 생채기를 내고 말았다. 죽순에 식이섬유가 많아 여성에게 좋다느니 갖은 말로 이해를 구해도 수그러들 기색이 없다. “사서 먹으면 되지….”
초고추장과 함께하는 죽순 맛은 별미다. 죽순은 금방 자라 때를 놓치면 제 맛을 보기가 어렵다. 오죽하면 ‘비 온 뒤 죽순 솟아나듯’이라 했겠나. 다음 날 살짝 데친 죽순이 밥상에 올랐다. 하지만 전날 소동 때문인지 옛맛을 반추하지는 못했다. 귀한 죽순을 너무 홀대한 건 아닐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며칠 전 형님댁에서 보낸 죽순 때문에 작은 소동이 일었다. 껍질을 벗기지 않은 죽순을 본 아내가 “껍질을 언제 다 벗기냐”며 나의 소중한 추억에 생채기를 내고 말았다. 죽순에 식이섬유가 많아 여성에게 좋다느니 갖은 말로 이해를 구해도 수그러들 기색이 없다. “사서 먹으면 되지….”
초고추장과 함께하는 죽순 맛은 별미다. 죽순은 금방 자라 때를 놓치면 제 맛을 보기가 어렵다. 오죽하면 ‘비 온 뒤 죽순 솟아나듯’이라 했겠나. 다음 날 살짝 데친 죽순이 밥상에 올랐다. 하지만 전날 소동 때문인지 옛맛을 반추하지는 못했다. 귀한 죽순을 너무 홀대한 건 아닐까.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6-11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