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낙서/정기홍 논설위원

[길섶에서] 낙서/정기홍 논설위원

입력 2013-05-29 00:00
수정 2013-05-29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어릴 적 낙서 추억이 두엇 있다. 초등학교 고학년 때 친구와 함께 철로의 목침(木枕)에다 ‘선생님 욕’을 분필로 써 놓아 야단을 호되게 맞은 적이 있다. 100m 거리에 분필 자국을 냈으니 철로가 하얗게 보일 정도였다. 철딱서니 없던 때의 일이다.

중국의 중학생이 3000년 된 이집트 부조 문화재에 ‘나 왔다 간다’는 낙서를 썼대서 중국 네티즌들이 당사자 신상털기에 나서는 등 시끄럽단다. 1960~70년대 우리의 자화상을 보는 듯해 격세지감을 느끼게 한다. 낙서에는 역사와 문화가 깃들어 있다. 그런 만큼 그 사회의 의식 수준을 가늠케 한다. 피라미드 등에 써 놓았다는 ‘요즘 애들 버릇 없다’는 낙서는 지금도 회자되고 있지 않는가.

중국인이 화난 것은 몰지각한 문화재 훼손 때문이겠지만 ‘왔다 간다’는 단수 낮은 문구 때문이 아닐까도 싶다. 낙서 속의 문구도 잘 갈무리하면 한 편의 시가 된다. 얼마 전 어느 휴게소의 화장실에 들렀다가 ‘졸음운전 안 하는 법’이란 글을 보고 온갖 낙서로 가득했던 공간이 지금은 많이 바뀌었다는 생각을 했다. 중국도 문화사회로 가는 통과의례를 겪는 것이리라.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5-29 30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