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년 전 미국 컬럼비아대에서 연수하던 시절의 일이다. 일주일에 한번 학교 앞에는 장이 섰다. 농부들이 인근 농장에서 직접 재배한 농산물을 가져와 파는 파머스 마켓이다. 학생들은 물론 주민들도 즐겨 찾곤 했다. 그때 처음으로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에서 재배한 식품인 ‘로컬 푸드’가 인기라는 것을 알았다. 그곳에서 파는 야채나 과일 등은 농약을 뿌리지 않고 키운 것이어서 영 볼품이 없었다. 새가 쪼아 먹어 일그러진 사과, 들쭉날쭉한 크기의 당근이며 감자들…. 일반 시장에서는 상품성이 없어 도저히 팔 수 없는 ‘못난이’였지만 오히려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믿음을 줬다. 집에서 직접 구워 온 빵과 쿠키도 그 소박한 맛과 멋에 순식간에 팔려나가곤 했다. 거기엔 진실이 있었다.
80년 전통의 미국 파머스 마켓에 비하면 우리 ‘도심장터’ 풍경은 여전히 낯설다. 그제 열린 활기찬 광화문 장터는 그래서 더욱 반갑다. 옷가지 등 쓰던 물건과 함께 자잘한 수제품을 파는 이들이 눈에 띄었다. 내친김에 신선한 우리 농산물을 믿고 사먹을 수 있는 ‘친환경 장터’로 한 걸음 진화했으면 좋겠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80년 전통의 미국 파머스 마켓에 비하면 우리 ‘도심장터’ 풍경은 여전히 낯설다. 그제 열린 활기찬 광화문 장터는 그래서 더욱 반갑다. 옷가지 등 쓰던 물건과 함께 자잘한 수제품을 파는 이들이 눈에 띄었다. 내친김에 신선한 우리 농산물을 믿고 사먹을 수 있는 ‘친환경 장터’로 한 걸음 진화했으면 좋겠다.
최광숙 논설위원 bori@seoul.co.kr
2013-03-19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