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밤새 무슨 일이 있었나?” 출근길이면 반기던 까치가 어제 아침엔 기척이 없었다. 지하철역까지 걷는 길에 어김없이 나타나던 놈이다. 까치의 아침 인사에 출근길이 가벼워진 것은 제법 오래됐다. 궁금해 뒤돌아보기를 두어번, “까까 깍~, 까까 깍~” 그 놈의 목소리다. “그럼 그렇지. 너와 나는 이심전심, 일심동체라···.”
까치 울음은 나에게 정겨움이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말에, 그가 우는 날이면 문 밖 인기척에 빼꼼히 내다보던 일은 살가운 추억이다. 가을녘 감을 딸 때면 “까치 먹을 것은 남겨 둬라”는 어른의 말씀에 맨 위 가지에 있는 감 하나는 꼭 남겨 뒀던 기억도 새롭다. 이게 겨우내 가지에 대롱대롱 달려 있는 ‘까치밥’이다.
길조(吉鳥)라 부르던 까치는 요즘 도심과 주택가의 말썽꾸러기가 된 지 오래다. 그래서 이 놈은 아침마다 저렇게 울어댈까. 밤에 우는 새는 님 그리워 울지만, 아침에 우는 새는 배고파 운다고 했는데···. 오늘 아침 출근길에 빵조각 하나 놓고 나올까, 하지만 이 놈의 거처를 알 수 없는 것을.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까치 울음은 나에게 정겨움이다. ‘까치가 울면 반가운 손님이 온다’는 말에, 그가 우는 날이면 문 밖 인기척에 빼꼼히 내다보던 일은 살가운 추억이다. 가을녘 감을 딸 때면 “까치 먹을 것은 남겨 둬라”는 어른의 말씀에 맨 위 가지에 있는 감 하나는 꼭 남겨 뒀던 기억도 새롭다. 이게 겨우내 가지에 대롱대롱 달려 있는 ‘까치밥’이다.
길조(吉鳥)라 부르던 까치는 요즘 도심과 주택가의 말썽꾸러기가 된 지 오래다. 그래서 이 놈은 아침마다 저렇게 울어댈까. 밤에 우는 새는 님 그리워 울지만, 아침에 우는 새는 배고파 운다고 했는데···. 오늘 아침 출근길에 빵조각 하나 놓고 나올까, 하지만 이 놈의 거처를 알 수 없는 것을.
정기홍 논설위원 hong@seoul.co.kr
2013-02-20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