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 출근길, 서울시청 옆을 지난다. 어수선했던 시청 주변이 말끔해졌다. 몇 년 동안 계속됐던 새 청사 공사가 끝난 것이다. 도서관으로 바뀐다는 옛 시청 본관 주변도 화강암 보도와 새로 심은 나무들로 단장됐다. 그런데, 뭔가 허전하다.
‘공포의 이도운’, ‘환상의 ○○○’, ‘마(魔)의 ○○○’. 1992년, 서울시를 출입하던 세 기자를 사진부 선배들은 그렇게 불렀다. 세 사람은 날마다 ‘서울판(版)’을 만들어야 했다. 매일 한 면을 채울 기사를 발굴하기도 어려웠지만, 더 큰 문제는 사진이었다. 그러다 보니 ‘얘깃거리’가 안 되는 무리한 사진 신청이 많았던 거다.
시청 본관 서쪽에 커다란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었다. 아마 100년은 됐을 거다. 이 나무의 밑둥이 본관 건물과 붙어 있었다. 그래서 나무 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사진을 신청했다. 사진부에서는 한참을 미루다가 촬영을 해줬다. 이번에 보니 그 고목이 없어졌다. 새 청사를 짓는 것도 좋지만, 서울시의 오랜 친구였던 그 나무를 살릴 방법은 없었던 것일까.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공포의 이도운’, ‘환상의 ○○○’, ‘마(魔)의 ○○○’. 1992년, 서울시를 출입하던 세 기자를 사진부 선배들은 그렇게 불렀다. 세 사람은 날마다 ‘서울판(版)’을 만들어야 했다. 매일 한 면을 채울 기사를 발굴하기도 어려웠지만, 더 큰 문제는 사진이었다. 그러다 보니 ‘얘깃거리’가 안 되는 무리한 사진 신청이 많았던 거다.
시청 본관 서쪽에 커다란 고목이 한 그루 서 있었다. 아마 100년은 됐을 거다. 이 나무의 밑둥이 본관 건물과 붙어 있었다. 그래서 나무 관리가 필요하다는 취지로 사진을 신청했다. 사진부에서는 한참을 미루다가 촬영을 해줬다. 이번에 보니 그 고목이 없어졌다. 새 청사를 짓는 것도 좋지만, 서울시의 오랜 친구였던 그 나무를 살릴 방법은 없었던 것일까.
이도운 논설위원 dawn@seoul.co.kr
2012-09-05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