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기념패 문화/임태순 논설위원

[길섶에서] 기념패 문화/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6-11 00:00
업데이트 2012-06-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우리 사회에는 감사의 마음을 패에 담아 전달하는 문화가 있다. 처음 접한 곳은 군에서였다. 졸병 시절 전역하는 ‘고참’을 위해 전역패 문구를 쓴 적이 있다. 부대가 강원도 정선이어서 아오라지에 빗대 이별의 아쉬움을 담았다. 부대원들의 박수 속에 패를 받으며 내무반을 나서는 전역병을 부러운 눈으로 지켜봤던 기억이 새롭다.

얼마 전 집안 정리를 하다 베란다에 수북이 쌓인 기념패를 발견했다. 출입처 등에서 하나둘 받은 감사패, 공로패 등이었다. 별로 내세울 것도 없는데 기념패에는 온통 미사여구 일색이어서 괜히 낯이 뜨거웠다. 저걸 만드느라 적지 않은 돈이 들었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지만 전시할 곳도 마땅치 않아 과감(?)하게 버렸다.

감사의 마음 또는 이별의 아쉬움을 패에 담아 전달하는 게 나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한두 개는 몰라도 여러 개의 기념패를 보관·전시하기란 쉽지 않다. 기념패 문화도 구조조정을 해야 한다. 조그만 행운의 열쇠나 기념품으로 대신하는 게 좋을 것이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6-11 3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