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갔을 때만 해도 달랐다. 재래시장이 죽었다고 하지만 남문안장은 그래도 인파로 바글바글했다. 썩어도 준치라고 했는데 600년 역사를 지닌 시장이 그렇게 쉽게 죽을 리 없지. 상자로 가린 숭례문을 곁눈질하며 장터로 들어선다. 왼쪽 첫 집에 눈길이 간다. 크리스마스 용품 천지다. 아! 연말이구나. 책상 앞에서 코 박고 있을 때, 달력에 ‘11월-NOVEMBER’ 아무 생각없이 스칠 때와 전혀 다른 감흥이다.
그런데 쓸쓸하다. 징글벨 소리가 귓가에 맴도는 듯한데 찾는 사람이 없다. 무슨 절간도 아니고…. 남대문, 아니 ‘숭례문시장’ 갈치조림 골목. 여기도 마찬가지, 손님이 없다. 밥(손님)보다 고추장(상인)이 많다. 좁은 식당에 손이 없다 보니 더 휑하다. 필사적으로 손님을 끄는 아줌마의 호객행위가 안쓰럽다. 마치 1990년대 초 순화동 골목을 연상시킨다. 불황의 골이 깊다. 4000, 5000원이 무서워 도시락을 싸오는 상인들이 늘었다 한다. 훈풍은 언제 불까. 중국 사람, 일본 사람이 몰려 와야 풀릴까. 시장 가야겠다. 자칫하다간 그들이 얼어 죽겠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그런데 쓸쓸하다. 징글벨 소리가 귓가에 맴도는 듯한데 찾는 사람이 없다. 무슨 절간도 아니고…. 남대문, 아니 ‘숭례문시장’ 갈치조림 골목. 여기도 마찬가지, 손님이 없다. 밥(손님)보다 고추장(상인)이 많다. 좁은 식당에 손이 없다 보니 더 휑하다. 필사적으로 손님을 끄는 아줌마의 호객행위가 안쓰럽다. 마치 1990년대 초 순화동 골목을 연상시킨다. 불황의 골이 깊다. 4000, 5000원이 무서워 도시락을 싸오는 상인들이 늘었다 한다. 훈풍은 언제 불까. 중국 사람, 일본 사람이 몰려 와야 풀릴까. 시장 가야겠다. 자칫하다간 그들이 얼어 죽겠다.
최용규 논설위원 ykchoi@seoul.co.kr
2011-11-25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