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아침 전철 맨 앞칸은 한산했다. 드문드문 몇 사람이 서 있을 뿐 대개는 좌석에 앉아 책을 읽거나 눈을 감고 있었다. 전철 문이 열리고 양 손에 짐을 든, 50대 중후반으로 보이는 여성이 들어섰다. 그는 실내를 쭉 둘러보더니 한 학생에게 곧바로 다가가 입을 열었다. “학생 자리 좀 양보해 주겠어?”
주위에는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았지만 이내 누그러졌다. 자리에 앉은 그가 신분증을 꺼내 학생에게 보이며 “사실 내가 장애인이야. 나이도 65세가 넘었고.”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몇 정거장 더 가면 내릴 테니 그때까지만 참아달란 말도 덧붙였다. 학생은 웃으면서 괜찮다고 대답했다.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건 미덕이다. 그렇다고 ‘내 자리 내놓으라’는 식으로 젊은 사람을 윽박지르는 일은 곤란하다. 자리를 양보하는 게 당사자에게는 어쨌건 ‘희생을 감수하는’ 일이고, 그에게도 피치 못할 사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고 받는 양쪽이 함께 예의를 지킬 때라야 양보는 빛을 발하는 법이다.
이용원 특임논설위원 ywyi@seoul.co.kr
주위에는 긴장된 분위기가 감돌았지만 이내 누그러졌다. 자리에 앉은 그가 신분증을 꺼내 학생에게 보이며 “사실 내가 장애인이야. 나이도 65세가 넘었고.”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몇 정거장 더 가면 내릴 테니 그때까지만 참아달란 말도 덧붙였다. 학생은 웃으면서 괜찮다고 대답했다.
노약자에게 자리를 양보하는 건 미덕이다. 그렇다고 ‘내 자리 내놓으라’는 식으로 젊은 사람을 윽박지르는 일은 곤란하다. 자리를 양보하는 게 당사자에게는 어쨌건 ‘희생을 감수하는’ 일이고, 그에게도 피치 못할 사정이 있을 수 있으므로. 주고 받는 양쪽이 함께 예의를 지킬 때라야 양보는 빛을 발하는 법이다.
이용원 특임논설위원 ywyi@seoul.co.kr
2010-08-23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