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명칭에서 동대문이 사라진다고 한다. ‘서울 흥인지문’이 공식 지정명칭이다. 남대문도 ‘서울 숭례문’으로 바뀐다. 별칭이나 속명은 인정하지 않고 현판이름만 사용하기로 한 것이다. 만시지탄이다. 제 이름을 찾은 것이 반갑다.
얼마 전 청계천을 따라 상류인 시내 쪽으로 가는 길이었다. 동대문시장쯤에서 빠져나와 종로 쪽으로 발길을 옮기자 눈앞에 흥인지문이 나타났다. 그런데 낯선 풍경이 펼쳐졌다. 흥인지문까지 보행로가 이어져 있었던 것이다. 차도에 둘러싸여 고립됐던 흥인지문의 진면목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일제에 의해 헐렸던 옹성(甕城)이 복원돼 위용을 자랑하고 있었다. 흥인지문은 도성 8개 문 가운데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다. 밖에서 성문이 보이지 않도록 독처럼 둘러 쌓은 작은 성이다.
서울생활 30여년 동안 오다가다 마주친 흥인지문은 차창 밖 그림 같은 존재였다. 섬이었다. 발이 닿지 않는 배경일 뿐이었다. 문화재가 시민 품으로 돌아오고 있다. 종로 쪽이 마저 뚫리지 않은 게 아쉽지만 말이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얼마 전 청계천을 따라 상류인 시내 쪽으로 가는 길이었다. 동대문시장쯤에서 빠져나와 종로 쪽으로 발길을 옮기자 눈앞에 흥인지문이 나타났다. 그런데 낯선 풍경이 펼쳐졌다. 흥인지문까지 보행로가 이어져 있었던 것이다. 차도에 둘러싸여 고립됐던 흥인지문의 진면목을 직접 볼 수 있었다. 일제에 의해 헐렸던 옹성(甕城)이 복원돼 위용을 자랑하고 있었다. 흥인지문은 도성 8개 문 가운데 유일하게 옹성을 갖추고 있다. 밖에서 성문이 보이지 않도록 독처럼 둘러 쌓은 작은 성이다.
서울생활 30여년 동안 오다가다 마주친 흥인지문은 차창 밖 그림 같은 존재였다. 섬이었다. 발이 닿지 않는 배경일 뿐이었다. 문화재가 시민 품으로 돌아오고 있다. 종로 쪽이 마저 뚫리지 않은 게 아쉽지만 말이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
2010-05-04 30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