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그래도 공정과 객관에 가까워야 설득하고 소통하고 공감으로 갈 수 있다. 그러려면 자신은 이해관계에서 멀어져야 하고 묻고 듣는 과정을 끝없이 거쳐야 한다. 이전의 관행, 관습들을 돌아보는 일 또한 중요한 과제다. 그렇지만 이것들은 ‘으레 그런 것’이어서 있는지조차 잘 모르고 발견하기가 쉽지 않다.
인용하는 문장의 서술어들도 이런 영역에 들어 있다. 거의 정해져 있어서 별 관심을 두지 않는다. ‘~고 했다’나 ‘~고 말했다’, ‘~고 밝혔다’ 같은 말들이 주로 쓰이고 ‘~고 덧붙였다’, ‘~고 전했다’가 같이 쓰인다. 무미건조하다고 여겨지면 ‘~고 강조했다’, ‘~고 지적했다’, ‘~고 주장했다’, ‘~고 토로했다’, ‘~고 비판했다’, ‘~고 비난했다’, ‘~고 일축했다’를 끼워 넣는다.
한데 무미건조함에서 변화를 주려고 한 서술어들은 문장의 맛에는 변화를 줬겠지만 공정성과 객관성은 잃고 말았다. ‘~고’ 앞에 인용한 말들에 대해 전달자의 생각을 넣은 것이다. ‘강조’, ‘지적’, ‘주장’ 등은 모두 전달하는 이의 판단이다. 사건이나 상황에 전달자가 개입한 것이 된다.
‘강조하다’는 ‘특별히 강하게 주장하거나 두드러지게 하다’는 뜻이다. 국어사전의 이러한 풀이는 일상의 쓰임새와도 다르지 않다. 일상에서도 가치중립적인 말은 아니다. ‘고 강조했다’라고 하면 사태를 잘못 읽게 한다. 누군가는 강조하지 않았는데 전달자 때문에 강조한 것으로 변한다. 강조하는 듯한 목소리로 말했어도 ‘강조하다’에는 신중해야 신뢰를 유지한다. ‘지적하다’도 그렇다. ‘지적하다’는 단순히 가리킨다는 뜻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부정적 의미가 담겨 있다. 소설이 아니라면 “그는 창의성이 없다고 ‘지적했다’”가 아니라 ‘했다’, ‘말했다’가 객관적이다.
‘강조’나 ‘지적’, ‘비판’, ‘비난’인지는 청자와 독자의 몫일 때가 대부분이다. 더 본질적인 가치가 공정과 객관에 있다면 이를 먼저 살피는 게 중요하다.
wlee@seoul.co.kr
2020-07-20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