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경우의 언파만파] 더욱 날개 펴는 명령형

[이경우의 언파만파] 더욱 날개 펴는 명령형

이경우 기자
입력 2020-03-15 22:34
수정 2020-03-16 01: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이경우 어문부 전문기자
예전엔 티브이 채널을 다이얼로 돌렸다. 지금은 리모컨을 눌러 변경하는 방식을 넘어 말로 검색하고 선택하는 데까지 왔다. “티브이 켜”라고 말하면 기계가 티브이를 켠다. 기술의 발달은 일상에서 이렇게 명령형으로 말하고 듣는 기회를 늘리고 있다. 티브이를 켜는 일뿐만 아니라 음악을 듣거나 차를 운전할 때도 기계에게 말을 하게 된다. 명령형 말들이 더 퍼져 나간다.

일반적인 명령형은 아랫사람에게 지시하는 형태다. 낮춰서 주로 이런 식으로 말한다. “마스크 써.” 격식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상하 관계가 아니라면 서로 허물없는 사이라는 걸 표시하기도 한다. 그래도 조금 격식을 차려야 한다면 “마스크 써라”라고 글자 수를 늘려 말한다. 이렇게 하면 말이 덜 가벼워 보인다.

명령형의 문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마스크 써라’처럼 상대를 보고 직접 말할 때 쓰이는 형태다. 말하는 사람이 듣는 사람에게 직접 말하는 것이어서 ‘직접명령형’으로 불린다. 한데 이렇게 직접 전달하는 상황이 아닐 때도 많다. 또 하나는 이처럼 상대를 마주하지 않을 때 쓰이는 형태다. 불특정한 다수나 단체가 대상이 된다. 신문 기사나 책의 제목, 시험 문제, 시위 장소 등에서는 상대를 대면하지 않는다. 이때는 주로 “마스크를 쓰라”처럼 ‘간접명령형’으로 표현한다. 의미를 완곡하게 전달하며 단순 지시 기능만 한다. ‘먹어라’가 아니라 ‘먹으라’, ‘해라’가 아니라 ‘하라’도 같은 구실을 한다.

이것은 전통적이고 규범적이다. 그렇지만 간접명령형으로 써야 할 자리에 직접명령형을 의도적으로 쓰기도 했다. 남용에 대한 지적은 이제 부질없는 일처럼 됐고, 친근감이라는 이유로 ‘쓰라’라고 할 자리에 ‘써라’를 쓴다. 둘 사이의 경계도 흐려져 보인다. 어느 곳에서나 ‘마스크 써라’ 형태가 낯익어서 항상 어색하지 않은 것처럼 비친다.

‘명령형’ 하면 운세들의 언어가 빠질 수 없다. 오랫동안 명령형에 익숙한 운세의 말들은 웬만하면 ‘해라’ 형태를 내세운다. 높임법에서 아주 낮은 단계의 말투다. ‘하지 말라’보다는 ‘하지 마라’나 ‘최선을 다하라’보다는 ‘최선을 다해라’가 흔하다. 일방적으로 시키고 지시를 한다. 운세를 제공하는 쪽의 언어이지만, 운세를 싣는 매체들의 언어도 크게 다르지 않다.

지시가 아니라 ‘해보자, 피워 보자’ 같은 권유형 운세들도 보인다. 나아가 명령형 ‘미루라’가 아니라 ‘미루세요’라고 표현하는 운세들도 있다. 변화한 현실을 반영했거나 거부감을 알아챈 것이겠다.

wlee@seoul.co.kr
2020-03-1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